1
01
선박 재활용 워크숍 방글라데시에서 개최
,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선박 재활용 촉진 출처
<IMO,
,
: IMO>
선박 재활용 워크숍 이 지난 월 일부터 월 일까지 방글라데시 다카
와 차토그람
4 24
5 9
(Dhaka)
「
」
에서 차례
(Chattogram)
4
*에 걸쳐 개최됨 이 워크숍에는
.
명의 핵심 이해관계자들이 참석
300
하였으며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선박
,
재활용 방안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공유함
.
다카 월
일 월
일 차토그람 월
일 월
일
* (
) 4 24~25 , 5 8~9 / (
) 4 28~29 , 5 5~6
제
호
24-20 ❘ 2024. 5. 20.
2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4-20
조선소 관리자 국가별 정부관계자를 비롯한 워크숍 참석자들은 선박 재활용산업에서
,
발생하는
유해 폐기물 관리뿐만 아니라 선박재활용협약*
의 이행을 위한 경험과 모범사례 전략 등을
(SRC)
,
공유하였음.
*
일명 홍콩협약 이라고 불림 선박 해체시 발생하는 유해물질로부터
Ship Recycling Convention 2009,
‘
’
.
건강을 보호하고 환경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선박해체시설 승인 등 무분별한 선박 해체를 규제하는 내용을
담고 있음
년 채택되었으며
년 월 발효요건을 충족함에 따라
년 월 발효될 예정임
. 2009
, 2023 6
2025 6
.
▶
워크숍 기간 중 훈련
세션은 노르웨이의 자금 지원을 받아
와 방글라데시
(Training)
IMO
산업부가 시행하는 SENSREC*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음
.
*
년부터 시작된 프로젝트로서 지속가능한
Safe and Environmental y Sound Ship Recycling: 2015
선박 재활용을 위한 국가적 역량을 강화하고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선박 재활용을 위한 홍콩협약의
,
국가별 이행 진전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
메인 워크숍에는
방글라데시 산업부 장관과
주
Zakia Sultana
Espen Ritker-Svendsen ( )
駐
방글라데시 노르웨이 대사가 주빈으로 참석하였음 또한 워크숍에 참석한 국제노동기구
는
.
(ILO)
선박 재활용작업 관련 운영상 안전 보건에 관한 논의를 주도하였고 일본국제협력기구
와
,
(JICA)
・
독일국제협력공사
는 유해 폐기물 관리 처리에 대한 최근 국가규제 동향 및 처리 저장
(GIZ)
・
・
시설 설립 계획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였음.
김 현 중 영문에디터
kem5651@imkmc.or.kr
국제해사동향
3
02
선박
제도가
규제 이행에 미치는 영향
Pooling
FuelEU Maritime
출처
(
: Riviera News, ’24. 5. 6.)
유럽지역 해운산업 탈탄소화 데이터 분석 전문회사
의
인
Ahti Climate CEO Risto-Juhani
는
년 월부터 항행 선박을 대상으로 시행될
규제에서 선박
Kariranta 2025 1
EU
FuelEU Maritime
제도가 규제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함
Pooling
.
▶
입법의 일환인
은 해상운송에서 재생가능한 연료 또는 저탄소
EU Fit for 55
FuelEU Maritime
연료 사용 촉진을 위한 규제임
지역을 운항하는 선박의 온실가스 집약도
를
. EU
(gCO2eq/MJ)
년까지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2050
80%
.
▶
선박
제도는
규제의 유연한 이행을 위한 일종의 보조수단으로
Pooling
FuelEU Maritime
,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기간이 같은 선박들을 하나의
로 묶어 배출량을 평균값으로 통합
Pool
산정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임 이 제도를 활용하면
에 포함된 일부 선박은 탄소
.
Pool
배출량이 많은 기존 연료유를 지속해서 사용할 수도 있음.
제도의 개념도 출처
< Pooling
,
: SWZ/MARITIME >
4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4-20
일례로 메탄올의 온실가스 집약도는
e-
5 gCO2
이고
는
e/MJ
, HFO
91.6 gCO2
임
e/MJ .
년까지
규제에서 제한하는 온실가스 집약도는
2030
FuelEU Maritime
89.3 gCO2
이므로
e/MJ
만약 한 척의 선박이 메탄올 연료를 사용한다면 이 선박과
을 구축한 나머지 척의
e-
,
Pooling
37
선박은 기존의
연료를 사용해도 탄소집약도 제한 규제를 충족할 수 있음
HFO
.
는
Risto-Juhani Kariranta “
제도를 적절히 활용하여 선단 운영을 최적화하는 것이
Pooling
규제 이행의 한 방안이 될 수 있다 고 언급함
FuelEU Maritime
”
.
황 대 중 전문연구원
hdaejung@imkmc.or.kr
국제해사동향
5
제 회 세계 여성해사인의 날 기념행사 성료
3
출처 해운산업신문
(
:
, ’24. 5. 9.)
지난 월 일 부산 라발스호텔에서 개최된 제 회 세계 여성해사인의 날
5 9
‘ 3
(International Day
행사가 해운 조선업계 여성 종사자 및 정부 관계자 등
여명이
for Women in Maritime)'
100
・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되었음.
▶
안전한 수평선 해양안전의 미래를 이끄는 여성들 을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서는 여성
'
:
'
해사인들의 발표와 강연이 진행되었으며 미래의 바다를 이끌 여성 리더의 역할과 역량
,
,
해양환경 보호 및 해사안전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장이 마련되었음.
세계 여성해사인의 날 주요 참석자 기념촬영 출처 해양수산부
<
,
:
>
국제해사기구
는 해사분야 성평등을 촉진하고 여성 해사인의 권익을 신장하기 위하여
(IMO)
월
5
일을 세계 여성해사인의 날로 정하고
년부터 기념행사를 개최하는 한편 각 회원국에도
18
'
'
2022
,
기념행사 개최를 권고하였음 이에 우리나라도 매년 기념행사
.
*를 추진하고 있음.
제 회 세계 여성해사인의 날 제정 축하 및
창립 기념행사
세종
* ( 1 )
IMO WIMA Korea
/ ’22.5.2,
제 회 제 회
병행행사
서울
( 2 ) 1 IMO
(Paral el Event) / ’23.6.14,
송명달 해양수산부 차관은 기념사에서 “허은정 한국선급 책임검사원이
양성평등
2023 IMO
표창을 받은 것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우리나라 여성해사인들이 국제무대에서 더욱 활발히
,
활동할 수 있도록 해사산업분야 양성평등 기반 조성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
라고 언급함.
박 다 영 연구원
iris23@imkmc.or.kr
6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4-20
넷제로 달성을 위해서는 해운업계 관행 변화 필요
출처
(
: Riviera Maritime Media, ‘24.5.14.)
국제해운업계를 보면 지난 년 동안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및 에너지 효율 향상 기술 개발에
,
5
투자함으로써
의
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한편
IMO 2030
,
다른 대체연료의 가치를 폄하해서 특정 대체연료를 홍보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의
인
은
와의 인터뷰에서
DNV Maritime CEO Knut Ørbeck-Nilssen Riviera Maritime Media
특정 대체연료에 대해 확신이 있다면 다른 대체연료를 깎아내릴 필요가 없다 고 언급하며
“
,
”
,
선종별 규모별로 적합한 선박연료를 식별할 수 있도록 연료 세분화의 필요성을 강조함.
・
규제
와 같은 국제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선주들은 저탄소 및
IMO
, FuelEU Maritime, EU ETS
무탄소 연료 중심으로 선박연료를 전환하고 있음 그러나 선대별로
메탄올 및 암모니아
.
LNG,
등 적합한 연료가 다르고 바이오연료의 경우 전환은 용이하나 타 부문과의 경쟁으로 인해
,
공급 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저감장치
개발을
Knut Ørbeck-Nilssen “IMO
(ESD)
위한 투자 및 더 나은 연료
공급이 필요하다 고 주장하고 근본적으로 해운업계가
(better fuels)
”
, “
현재의 관행을 뛰어넘어 새로운 사고를 확립하고 혁신적인 기회와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
한다 고 강조함
”
.
또한
은
Nilssen
혁신적인 기회와 해결 방안의 하나로 원자력 을 꼽으며 향후 소형모듈원자로
‘
’
, “
가
(SMR)
녹색해운항로에서 선박을 추진하거나 연료를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것 이라고
e-
”
전망함.
▶
은 원
Nilssen “
자로의 선박 탑재 여부는 원자력을 통제할 수 있는 특정 국가 또는 해당 항로에
위치한 양 당사국이 판단 이행하는 것이
・
적절하다 라며
”
, “
일반적으로 원자력을 통해 생산되는
연료를 분홍색으로
e-
표시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원자력 추진선박이 운항하는 항로는
녹색항로 대신 ‘핑크항로
로 용어 변경이 필요할 수 있다 고 언급함
(pink corridor)’
”
.
안 삼 엘 연구원
samela@imkm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