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1
선박평형수관리협약 워크숍 개최
IMO,
월 일부터 일까지 싱가포르에서
11 12
14
IMO
선박평형수관리협약
지역
(BWM Convention)
워크숍이 개최됨 동 워크숍은 평형수 협약과 관련 지침에 대한 동아시아 국가의 인식을 높이
.
고 협약의 효과적인 이행을 증진하며 미비준 국가들의 해당 협약 비준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
으로 개최됨.
▶
선박평형수관리협약은 선박을 통해 수생 침입종(invasive aquatic species)이 유입
되는 것
을 방지하여 해양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협약으로
년 월 일에 발효
2017 9 8
됨.
▶
동 협약으로 인해 모든 선박은 선박평형수관리기록부
를 작성
(bal ast water record book)
하고 선박평형수관리설비검사증서(international bal ast water management certificate)
를 보관해야 할 의무를 지님.
동아시아 국가 명 이상의 정부 관계자가 동 워크숍에 참가하여 협약 당사국의 의무 항만국
30
,
통제를 위한 협약 준수 및 시행 위험성 관리 평형수 표본 채취 기술 등과 같은 사항을 논의
,
,
함.
제
호
24-46 ❘ 2024. 11. 25.
2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4-46
해양사고 조사 및 보고 워크숍 개최
IMO,
월 일부터 일까지 수리남에서 해양사고 조사 및 보고에 관한 지역 워크숍이 개최됨
11 4
8
.
▶
해당 지역 내 개국
14
명의 정부 관계자가 해양사고 조사 및 보고에 관한 역량을 증진하고
33
역내 협력을 강
화하기 위하여 동 워크숍에 참가함 동 워크숍에서 참가자들은 해양사고 조
.
사관의 주요 역할 해양사고의 개념이해 국가의 역할 조사환경 표준 위험식별 인적요소
,
,
,
,
,
,
,
분석 및 보고 등과 같은 사항을 논의함.
동 워크숍에서 제공하는 통합 과정을 통해 참가자들은 지역 내 사고조사 역량을 증진하고 회
원국 감사 결과를 고려하여
회원국과의 협력을 강화할 기회를 얻음
IMO
.
▶
의 해양사고조사코드
에 따르면 기국은 자국 선박에서
IMO
(Casualty Investigation Code)
,
발생한 심각한 해양사고를 조사하여
에 보고할 의무가 있음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선
IMO
.
원의 안전 및 해양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현 규정에 대한 개선사항을 식별할 수 있음.
김 현 중 영문에디터
kem5651@imkmc.or.kr
3
국제해사동향
공지
IMO
사무국
년 세계해사대학
석사 과정 후보자 추천 안내
(
) 2025
(WMU)
(CL.4937, '24.11.13.)
▶
세계해사대학은
년 월부터
년 월까지 해사 분야 석사 과정을 운영함
2025 9
2026 11
.
▶
지원자는 관련 학위와 해사 분야 경력을 갖추어야 하며
웹사이트를 통해 온라인 지
, WMU
원서를 제출할 수 있음.
▶
정부 소속 재직자는
등에서 후원하는 장학금 신청이 가능하며 학비 거주비 생활비
IMO
,
,
,
등이 포함됨.
사무국
(
)
제 차
데이터 조화 전문가 그룹
12 IMO
회의
(EGDH 12)
개최 알림
(CL.4940, '24.11.14.)
▶
는
IMO '25.3.17.
월
( )~3.21.
금 까지 제 차 데이터 조화 전문가 그룹
( )
12
회의를 런던 본부에
서 병행회의 형식으로 개최함.
▶
동 회의에서는 데이터 세트 우선순위 검토 조화 모델 개발
관련 해상 서비스
,
, e-navigation
등이 다뤄질 예정이며 회의 결과는 간소화위원회
에 보고될 예정임
,
(FAL)
.
사무국
년
(
) 2025
저감
GHG
중기조치 워크숍
개최 알림
(GHG-EW 6)
(CL.4945, '24.11.14.)
배경
는
* (
) MEPC 82
저감
GHG
중기조치가 식량안보 특히 저개발 국가의 필수 식량 및 농업 자원 확보에
,
미치는 영향을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됨 이에 따라
에 문헌 검토를 의뢰하고
및 세계식량계획
.
WMU
, FAO
과 협력하여 관련 분석을 진행하기로 함
(WFP)
.
▶
는
IMO
'25.2.13.
목 런던 본부에서 제 차
( )
6
저감
GHG
중기
조치 논의를 위한 워크숍
을 병행회의 형식으로 개최하며 전문가 추천을 요청함
(GHG-EW 6)
,
.
▶
동 워크숍은 해사 운송비 상승이 식량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 결과와 저개
WMU
발 국가의 필수 식량 및 농업 투입재 확보 어려움 등을 논의함.
▶
결과보고서는
과
에서 검토될 예정임
MEPC 83 ISWG-GHG 18
.
4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4-46
02
비영리 북 앤 클레임 등록소 ‘Katalist’ 플랫폼 출범
출처
(
: OFFSHORE ENERGY, ‘24.11.14.)
년 월 일
2024 11 14 , Mærsk Mc-Kinney Møl er Center for Zero Carbon Shipping
과
구
는 해운업계 탈탄소화를 촉진하기 위해
(MMMCZCS) RMI( Rocky Mountain Institute)
비영리 ‘북 앤 클레임(book and claim)’ 등록소인
‘
카탈리스트(Katalist)’를 공동 출범함.
▶
의
는
RMI CEO
카탈리스트가 해운의 혁신적인 접근방식이 될 것이며, 전 가치사슬에 걸친
협업이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탈탄소화를 이
끌어낼 수 있는 확장
성을 가진 체계적
인
변화를 만들 것이라고 강조함.
‘
카탈리스트’는 저탄소 연료를 사용하는 선사와 지속가능한 공급망을 원하는 화주를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화주는 저배출 해상 운송 서비스가 주는 혜택을
믿고 이용할 수 있게 되며 선사는
,
저배출 연료 사용에 대한 시장 접근성을 확대할 수 있음.
‘
북 앤 클레임(book and claim)’ 모델은 제품의 물리적 흐름과
지속가능성 혜택을 분리하여,
고객이 실제 제품을 받지 않고도 환경적 혜택을 주장할 수 있게 함 이를 통해 저배출 연료에
.
대한 투자를 촉진하고 상업적 가용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
.
카탈리스트는 에너지 웹 재단*과의 협력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지속가능한 항공연료
,
등록소(SAFc Registry)** 등 다양한
체인 오브 커스터디
모델
(CoC)
***의 경험을 바탕으로
설계됨 이를 통해 해운업계의 지속가능한 변화를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임
.
.
년 설립된 글로벌 비영리 단체로 에너지 부문의 탈탄소화와
* Energy Web Foundation: 2017
,
고객 중심의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오픈 소스 디지털 기술을 개발함
** Sustainable Aviation Fuel certificates (SAFc)
항공산업에서 사용하는 지속가능한
Registry:
항공연료의 생산 사용 환경적 혜택을 기록 및 검증하는 디지털 플랫폼으로
,
,
, ‘북 앤 클레임’ 모델을
활용하여 탄소 감축 기여를 확인할 수 있고 지속가능한 연료 사용을 확대함
,
***
제품이나 재료가 생산 가공 유통 소비 단계를 포함한
Chain of Custody:
,
,
,
모든 과정에서의 이동과
소유권을 추적하고 인증하는 시스템
이 정 윤 연구원
jylee@imkmc.or.kr
5
국제해사동향
선사 바이오선박유 적극 활용으로
대응
Star Bulk
,
FuelEU Maritime
출처
(
: S&P Global, ’24.11.15.)
년부터
선사는 자사의 대형 벌크선에 바이오선박유
사용을 적극
2025
Star Bulk
(B24~B50)
도입할 계획임 이는
년부터 시행 예정인
규제의 선박 배출
.
2025
‘FuelEU Maritime’
온실가스 집약도 기준을 준수하기 위한 방안임.
▶
선사는
년 설립되었으며 본사는 그리스에 있음
척 선박을 운용하고
Star Bulk
2006
. 159
있는 글로벌 대형 건화물 운송회사로서 운항 선박의 평균 선령은 약
년임
11.3
.
바이오선박유는 일반적인
연료보다
비싼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음 이에
VLSFO
20~30%
.
,
현시점에서 선주가 적극적인 도입을 주저하는 상황이지만
년부터 시행 예정인 의
, 2025
EU
규제를
‘FuelEU Maritime’
만족하지 못하면 벌금과 같은 패널티를 부담해야 함에 따라 EU
지역을 통항하는 선박은 이에 대한 신속한 대비가 요구되고 있음.
선사는 바이오연료 외에도 메탄올
암모니아 등 대체연료 관련 투자를 검토
Star Bulk
, LNG,
중이지만 규제와 기술적 명확성이 확보될 때까지 본격적인 투자는 잠시 보류함 선사 측은
,
.
지속가능한 연료 인프라 개발 및 국제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함.
황 대 중 전문연구원
hdaejung@imkmc.or.kr
6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4-46
개발도상국 항만의 친환경 에너지 전환 지원 프로젝트 착수
IMO,
출처
(
: OFFSHORE ENERGY, ‘24.11.11.)
IMO
는 IMO CARES* Global Technology Chal eng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한 개의 시범 사업을 발표함
4
.
* Coordinated Actions to Reduce Emissions from S
의 약자로 아프리카와 카리브해의
hipping
선박과 항만의 탈탄소화 가속화를 위한 기술 개발 이니셔티브
년 월 특정 지역의 해운 및 항만의 탈탄소화를 위한 기술 솔루션 모색을 위해 처음 시행
** 2023 11 ,
▶
모리셔스 세인트키츠네비스 나미비아 트리니다드 토바고를 대상으로 시행되는
,
,
,
동 시범
사업은 항만의 재생 가능한 에너지 생산과 적시 운송
을 위한 데이터 공유를 목표로
(JIT)
하며 이를 통해 최빈개도국
과 군소도서국
의 에너지 효율 개선 및 온실가스
,
(LDCs)
(SIDS)
감축 목표를 지원할 예정임.
프로젝트 모리셔스 항구
[
1:
BioH2Energy]
포트루이스항
에서 유기 폐기물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시스템을 도입한
(Port Louis)
BioH2Energy
후 하루 톤의 폐기물을 처리하여 시간당
,
2
100k
를 생산함
W
.
동 시스템을 통해 향후 연간
톤의
482
CO2
를 감축할 예정으로 전력망의 탄소배출량을
807gCO2e/k
에서
Wh
-0.045gCO2e/k
로
Wh
감소시킬 계획임.
프로젝트 세인트키츠 네비스 항구의 풍력 에너지
[
2:
]
배스터르항
은 풍력 터빈 기반의 소규모 전력망인
(Basseterre Deep Water port)
마이크로그리드
를 구축해 항만
(microgrid)
의 탄소 배출량을 약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46%
전망함. 태양광
등을 이용해 연간
톤의
141
CO2
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함
eq
.
프로젝트 나미비아와 트리니다드 토바고에서의 항만 입출항 최적화
[
3:
]
나미비아의 월비스베이항
과 뤼데리츠항
트리니다드
(Port of Walvis Bay)
(Port of Lüderitz),
토바고의 포인트리사스항(
에서
Port of Point Lisas)
데이터 플랫폼
PERSEUS
*을 활용해 항만
입출항을 최적화하고 적시 운송을 구현함. 년
1
이내에 온실가스를
감축
10%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만 처리 시간
이 단축
되고 시설 활용도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함
.
독일의 해양 컨설팅 업체
와 키프로스의
가 제공하는
*
BM Bergmann Marine
Marine Fields Holding
항만 입출항 데이터 공유 플랫폼
7
국제해사동향
는 관련 사업들이 개발도상국의 탈탄소화와 에너지 전환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확대
IMO
,
가능성을 평가할 계획임.
그러나 자금 부족이 여전히 주요 장애물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국제
,
항만협회
는
(IAPH)
개발도상국 항만의 기후 적응 및 탈탄소화를 위한 투자 필요성을 강조함.
▶
특히, 기후 적응을 위한 투자 우선이 공정한 에너지 전환의 핵심임을 강조하며 이를 위해 약
,
억
억 달러의 투자가 필요함을 언급함
550 ~830
.
안 삼 엘 연구원
samela@imkm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