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모리셔스 해상보안 강화를 위한 워크숍 개최
,
해상보안 강화 워크숍 출처
<
,
: IMO >
모리셔스는 해상보안 강화를 위해 국제해사기구
인터폴
유엔마약범죄사무소
(IMO),
(INTERPOL),
와 협력하여
년 월 일부터 일까지 포트루이스에서 국가해상보안위원회
(UNODC)
2025 4 28
30
(NMSC,
워크숍과 모의훈련을 개최함
National Maritime Security Committee)
.
▶
이번 워크숍은 정부 부처 간 협력을 강화하고 해상보안 거버넌스를 개선하며 국가 차원의
,
,
의사결정 구조를 공고히 하는데 목적이 있음.
▶
모리셔스 농업 식량안보 블루이코노미 수산부 장관은 워크숍 개회식에서 모리셔스가
·
·
·
“
군소도서국에서 대양국가로 전환하겠다 는 비전을 강조하면서 자국의 광대한 배타적
”
,
경제수역
을 활용하여 해양을 취약한 공간이 아닌 기회와 번영의 영역으로 만들겠다는
(EEZ)
의지를 밝힘.
제
호
25-18 ❘ 2025.05.19.
2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3-01
▶
의 지부티 행동강령 서부 및 중부 아프리카 프로젝트 매니저
는 기관 간
IMO
·
Kiruja Micheni “
협력과 정보 공유는 선택이 아닌 필수 라며 모리셔스의 전 정부 차원의 접근방식이 지역 내
”
,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 평가함.
이번 워크숍은 의 자금 지원으로
인터폴 및
가 공동으로 시행하는 동부 및 남부
EU
, IMO,
UNODC
‘
아프리카와 인도양 지역의 항만 보안 및 항해 안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모리셔스를 포함한
’
,
개국이 참여하여 지원을 받고 있음
9
.
이 정 윤 연구원
jylee@imkmc.or.kr
3
국제해사동향
영국 암흑선단
유조선
척 대규모 제재
,
(Dark Fleet)
100
출처
(
: Lloyd’s List, ’25.5.9)
년 월 영국 정부는 러시아의 암흑선단
소속 유조선
척을 제재 명단 추
2025 5 ,
‘
(Dark Fleet)’
100
가한다고 발표함 암흑선단은 선박자동식별장치
를 끄고 해상에서 환적을 반복하며 러시
.
(AIS)
,
아산 원유 수출을 은폐하는 방식으로 국제 제재를 회피해 옴 영국은 이 조치로 암흑선단 제재
.
규모 면에서 세계 최다 국가가 됨.
이와 함께 노르웨이 보험사
과 러시아 보험사
도 제재 대상에 포함됨
,
Ro Marine
Soglasie
. Ro
은 무허가 상태에서 선박 보험을 제공하다 노르웨이 당국에 의해 기소되었고
Marine
,
는 인도에서 정식 보험사로 승인받았음에도 러시아 정부를 지원한 혐의로 제재됨 두
Soglasie
.
회사는 금융서비스 부문에서 러시아의 전략적 이해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됨.
영국 총리
는 이번 제재의 배경으로 암흑선단이 러시아의 전쟁 자금을 조달할
Keir Starmer
“
뿐만 아니라 해저 케이블을 절단하는 등 무모한 운항으로 해상 인프라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
,
고 있다 고 언급함 최근 발트해에서는
호가 해저 케이블을 절단했다
”
.
Eagle S(IMO: 9329760)
는 의혹이 제기되며 해상 안전 문제가 다시 부각되고 있음
,
.
호는
의 암흑선단 감시 목록에 포함된 선박임
* Eagle S
Lloyd’s List Intel igence
호를 감시하는 핀란드 해경 출처 핀란드 해경
<Eagles S
.
:
>
4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3-01
이 제재는 영국 북유럽 개국
,
9
* 등이 참여하는 공동군사체 합동원정군
‘
(JEF, Joint
회의에서 공식 발표될 예정임
총리는 푸틴의 암흑 선단을
Expeditionary Force)’
. Starmer
“
와해시키고 국민 생활과 연결된 해저 인프라를 보호하며 우크라이나의 정의롭고 지속 가능
,
,
한 평화를 실현하는 데 기여할 것 이라고 밝힘
”
.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네덜란드 아이슬란드
*
,
,
,
,
,
,
,
,
신 지 연 연구원
jyshin@imkmc.or.kr
5
국제해사동향
국제해운 탈탄소화 금융 지원
손잡아
, GCMD-ADB
출처 싱가포르
홈페이지
(
:
GCMD
, ’25.5.8.)
년 월 일 글로벌해운탈탄소화센터
가 아시아개발은행
과 아시아 태평양
2025 5 8 ,
(GCMD)
(ADB)
·
지역의 해운 탈탄소화 금융 지원을 위한 협력을 발표함 이번 협력은
가
년 월
.
ADB 2024 11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제 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에서 발표한
29
(COP29)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해운기금
출범과 연계된 것으로서 해운업계의 탈탄소화
'
(SRMF)'
전환에 실질적인 금융 지원을 제공하고 친환경 해운금융 모델의 확산이 주요 목적임
,
.
▶
의 주요 목표는 항만 인프라의 회복력 제고 대체 연료 도입 가속화 재정 격차 해소
SRMF
△
△
△
지역 정책 조율 촉진 등임 이를 통해
는 아시아 지역의 해운 부문이 탄소중립 목표를
.
SRMF
△
달성할 수 있도록 금융적 기술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함
·
.
는 에너지 효율 기술
의 도입을 촉진하기 위해
GCMD
(EET, Energy Efficiency Technology)
분할 상환 방식
을 도입할
'
(PAYS, Pay As You Save)'
예정임 이 방식은 초기 설치 비용을
.
절감하고 이후 절감된 연료비를 통해 투자금을 상환하는 구조임
,
.
▶
는 현재 운항하는 선박에 실시간 연료 모니터링 장비를 설치해 각 기술의 연료 절감
GCMD
6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3-01
효과를 검증할 예정임 이를 통해 해운사들은
도입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고 효과적으로
.
EET
,
탈탄소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임.
의 린 루
는
의 온실가스 중기조치 도입은 해운업계에 탈탄소화 필요성을 더욱
GCMD
CEO “IMO
강하게 시사하는 조치 라며
모델은 해운사들이 초기 비용 부담 없이 에너지 효율 기술을
”
, “PAYS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고 언급함
”
.
의 이와사키 히데아키 부문 국장은
와의 협력을 통해 해운업계의 친환경 기술 도입과
ADB
“GCMD
금융 지원 간의 격차를 해소할 것 이라며 이를 통해 해운업계가 보다 지속가능한 성장 경로를
”
, “
마련할 수 있을 것 이라고 강조함
”
.
황 대 중 전문연구원
hdaejung@imkmc.or.kr
7
국제해사동향
제 차 국제해사협의회 개최 해사분야 주요 현안 및 미래전략 논의
21
,
출처 해양수산부 홈페이지
(
:
, ’24. 9. 9.)
해양수산부가 주최하고 한국해사협력센터
가 주관하여
(KMC)
해사 분야의 주요 현안을
논의하고 미래전략을 모색하는 제 차 국제해사협의회 가
' 21
'
월 일 일 천안 소노벨에서
5 8 ~9
개최되었음.
▶
이번 국제해사협의회에서는 해양수산부를 비롯하여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
부산항만공사 한국선급 등 총 개 기관 및 단체에서 여 명의 전문가가 참석하였음
,
26
90
.
▶
세부적으로는
총회 해양환경보호위원회 해사안전위원회 등 국제해사기구
의 주요
IMO
,
,
(IMO)
회의에서 논의되는 의제를 공유하고 우리나라의 대응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전문가들의
,
다양한 정책 발표와 토론이 진행되었음.
제 차 국제해사협의회 참석자 단체사진
< 21
>
첫 번째 정책발표로는
회원국 감사의 상시감사체계
IMO
(ICMM)*
도입 현황 년 예정 및 관련
(’27
)
결의서 개정 사항 감사 주기 절차 등 에 대한 소개가 있었으며 또한
년 감사 대응 계획으로
(
,
)
, 2025
상시감사체계 전환을 위한 대응 방안 상시 조직 운영 방안
고도화 추진 계획 등이
,
, KO-REGs
발표되었음.
회원국이
국제협약 이행현황 자
* ICMM(IMSAS Continuous Monitoring Mechanism) :
IMO
8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3-01
료와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공하고
감사팀이 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방식
, IMO
다음으로는 지난 월 개최된 제 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
의 주요 결과 특히
4
83
(MEPC)
,
단기조치인 탄소집약도
감축률 결정 사항과 평형수관리협약 재활용협약 개정 현황 등이
(CI )
,
공유되었으며 선박 온실가스 감축 중기조치
년 예정 승인에 따른 유류 비용 관련 영향
(’27
)
분석이 발표되었음.
▶
국제선박 예상 탄소세
산출 및 연도별 온실가스 집약도
감축 목표
년 에 따른
(RU)
(GFI)
(‘28 ~)
유종별
규제 대응 비용 예측 결과가 소개되었으며 참석자들의
(HFO, VLSFO/MGO, LNG)
질의 및 응답이 이어짐.
세 번째는
방안으로의 대체에너지인 중소형원자로 및 개발현황을 통해 선박 탑재용
Net-Zero
중소형 원자로 등 원자력 추진선 기술 현황이 소개됨 또한 국내 개 선사와 척의 선박을
.
,
10
10
대상으로 진행된 해사 사이버 점검 결과가 공유되었는데 사이버 안전 관련 조직 및 자산 관리
,
등 주요 취약 사항에 대한 선사들의 대응 강화 필요성이 강조됨.
협의회 참가자들은 테이블 토론 세션을 통하여 탈탄소화와 디지털화
전문가 양성 및
, IMO
중장기 전략의 변화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및 당면과제 등의 다양한 주제로 토론을
진행하였으며 각 테이블별 토론 결과 발표시간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교환하였음.
또한
자율운항 기술 아비커스 대표 및
목표를 향한 글로벌 연대 위기인가
, AI
(
)
‘1.5
,
℃
기회인가 라는 제목으로 기후변화 김효은 기후변화대사 와 관련된 특별 강연을 통해 해사
?’
(
)
前
산업의 미래 기술 방향과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성에 대한 폭넓은 통찰을 얻는 시간을
가졌음.
이번 제 차 국제해사협의회는 국내 해사 분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주요 의제에
21
IMO
대한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급변하는 해사 환경 속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
방안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되었음.
이 정 은 전문연구원
jelee47012@imkm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