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제해운에 온실가스 중기조치 도입 본격화 밝혀
IMO,
출처
홈페이지
(
: IMO
, ’25.6.20.)
년 월
는 독일 본
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
과학기술자문
2025 6 , IMO
(Bonn)
(UNFCCC)
부속기구 회의에서 해운 분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중기조치 규제의 채택 계획을 밝힘
는
. IMO
년 월 런던
회의에서
를 채택하고
년
2025 10
MEPC
‘IMO Net-Zero Framework’
, 2027
월부터 이를 시행할 예정임을 밝힘
3
.
의
과학기술자문 부속기구
회의 참가
< IMO UNFCCC
(SBSTA)
>
제
호
25-23 ❘ 2025.06.30.
2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5-23
▶
중기조치는 연료의 온실가스 집약도를 점진적으로 줄이는 연료 기준과 기준 미충족에 따라 부과
금
을 납부하는 방식이며 연료의 집약도는 전주기
방식으
(RU, Remedial Unit)
,
(wel -to-wake)
로 평가됨 선박은 부과금을
기금으로 납부해야 하며 해당 기금은 제로 또는 저
.
IMO Net-Zero
,
탄소 연료 선박 지원과 연구개발 친환경 연료 인프라 구축 지원 등에 활용될 예정임
,
.
는 지속가능한 해양연료 인증 제도 도입
등록부 설립 및 식량안보 영향 최소화를 위한
IMO
, GFI
규정을 포함한 추가 조항도 마련 중임을 밝힘 아울러 생애주기 분석
.
(LCA, Life Cycle
을 기반으로 한 연료 지속가능성 평가 선박의 탄소포집기술 친환경 대체연료
Assessment)
,
,
사용에 따른 안전기준 등 다양한 기술적 규제적 대응책을 병행 추진 중임을 강조함
·
.
는 공정한 국제해운 탈탄소화 전환을 위해 최빈개도국 및 군소도서국을 위한 기술이전과
IMO
역량강화 지원에도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항만 재생에너지 기업 해사 교육기관 등과 협력을
,
,
,
강화할 계획임 본 중기조치 프레임워크의 시행은 해운산업 전반의 구조적 전환을 유도하며
.
,
탈탄소화를 위한 국제적 이행 기반을 마련하는 중대한 계기가 될 전망임.
황 대 중 전문연구원
hdaejung@imkmc.or.kr
3
국제해사동향
공지
IMO
회의 및 행사 공지
[
]
사무국 제 차
코드
(
) 43
IMDG
* 편집 및 기술 그룹 회의
개최 안내
(E&T 43)
(CL.5020,
'25.6.18.)
국제해사위험물규칙
으로 해상에서 위험물의 안
*
(International Maritime Dangerous Goods Code)
,
전한 운송을 위한 국제 규정
▶
제 차
코드 편집 및 기술 그룹 회의가
년 월 일
일
본부에서 개최됨
43 IMDG
2025 9 15 ~19 IMO
▶
주요 안건은
코드 개정안 검토 보충문서 개정안 검토 등임
IMDG
,
사무국 제 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 개최 알림
(
) 84
(CL.5031, '25.6.20.)
▶
제 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
는
년 월 일부터 월 일까지 런던
본
84
(MEPC 84) 2026 4 27
5 1
IMO
부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개최될 예정임
▶
의제는 선박의 온실가스 감축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저감 수중방사소음 특별해역 지정 등 환
,
,
,
경보호 관련 주요 사안들을 포함함
▶
회기 중 최대 개 작업반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효율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등 개설 예정이
5
(
,
,
)
며 문서 제출 마감일은 각각 제안문서 일반문서 코멘트문서
년 월 일 월 일
,
(
,
,
) 2026 1 23 , 2 20
및 월 일임
3 6
기타 공지
[
]
사무국
년
주니어 전문관
(
) 2025 IMO
(JPO)*
모집 안내
(CL.5033, '25.6.17.)
는
직책으로 보통 년동안
에서 근무하며 국제 해사 분야에서 전문성을 키울 수 있음
* JPO P-2
2
IMO
,
.
각 회원국 당 최대 명 추천 가능함
3
▶
는
직책 해사안전국 해사보안과 을 모집하며 회원국의 지원을 요청함 회원국이
IMO JPO
(
,
)
,
(
추천한 후보만 심사 대상이며 개인 직접 지원은 불가
,
)
▶
모든 비용은 파견국 정부가 부담해야 하며 비용 처리 방식은
가 지불 후 환급받는 방식
,
IMO
또는 파견국이 직접 지급하는 무급 인력
방식 중 선택 가능함
'
(Gratis Personnel)'
4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5-23
▶
지원 마감은
년 월 일까지이며 지원자는 이력서
및 지원
2025 8 31
,
(Personal History Form)
동기서를 소속 정부를 통해
에 제출해야 함
IMO
사무국
인사담당관
급 채용 공고
(
) IMO
(P.4 )
(CL.5036, '25.6.17.)
▶
는 행정국 소속 인사담당관
급 채용을 공고함 월 일이 지원 마감일임
IMO
(P.4 )
. 7 18
▶
동 직책의 주요 업무는 직원에 대한 급여 수당 지급 복리후생 운영 인사정보 분석 등으로
·
,
,
,
년 이상 관련 경력 및 년 이상 팀 관리 경험이 필수이며
시스템 및 통계분석 능력이
7
5
, ERP
요구됨
인도네시아 롬복 및 순다 해협 항로계획 가이드 발간 통보
(
)
*
(CL.5034, '25.6.18.)
순다 해협은 자바섬과 수마트라섬 사이 롬복 해협은 발리섬과 롬복섬 사이에 위치한 인도네시아 해역
*
,
으로 국제 해상운송에 있어 전략적 요충지임
,
▶
인도네시아는 순다 및 롬복 해협 항로계획
을 위한 최신 가이드를
(Passage Planning)
출판사와 협력해
년 월 발간 예정임을 통보함
Witherby
2025 9
▶
본 가이드는 해협 내 통항분리제도
특별보호해역
군도항로 등
채택 항
(TSS),
(PSSA),
IMO
로조치에 따른 안전 항해 및 환경 보호 지원을 목표로 함
▶
항로 정보 외에도 조류 기상 해적 해양오염 긴급대응 등에 대한 통합 정보를 포함하고 있
,
,
,
,
어 선박 운항자 선사 교육기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유용할 것으로 예상됨 해당 출
,
,
.
판물은
웹사이트 및 해도 대리점을 통해 구매 가능함
Witherby
사무국
년 세계 선원의 날 캠페인 선상 괴롭힘 근절을 위한 공동 노력
(
) 2025
:
(CL.5035,
'25.6.18.)
▶
년 세계 선원의 날
은 월 일이며 올해의 주제는
2025 ‘
(Day of the Seafarer)’ 6 25
,
“My
으로 선상 내 괴롭힘과 차별 근절을 위한 문화 조성을 촉구함
Harassment-Free Ship”
,
▶
는 본 캠페인을 통해 안전하고 존중받는 근무환경 조성 피해 신고 채널의 접근성 개선
IMO
,
등을 강조함
▶
는 회원국에 자발적으로 관련 행사를 조직할 것을 권장하며
는 행사 시 사용할 수
IMO
, IMO
있도록
웹사이트를 통해 로고 홍보 영상 디지털 콘텐츠 등 관련 자료를 제공함
IMO
,
,
5
국제해사동향
이스라엘 이란 갈등 유가 상승과 선박 우회 에너지 시장 불안 고조
-
,
…
출처
(
: Offshore Energy, ’25.6.17.)
년 월 이스라엘이 이란의 핵 및 에너지 기반시설을 공습하면서 중동 해역의 불안정성이 크게
2025 6 ,
상승함 이란은 사우스파르스 가스전 이스라엘은 레비아탄 및 카리시 가스전 가동을 일시 중단함에
.
,
따라 글로벌 해운과 에너지 공급망 모두에 즉각적인 불확실성을 유발하고 있음.
머스크
등 글로벌 해운사는 중동 해역의 지정학적 불안정성에 따라 수에즈 운하와 호르무즈
, MSC
해협을 피해서 아프리카 희망봉을 경유하는 우회 항로를 채택하고 있음 이에 따라 항해 일이 평균
.
일 연장되며 연료비와 운항비는 최대
까지 증가하고 있음 선복 회전율 선박의
10~14
,
30%
.
(
운송주기 효율성 은 급감하고 있으며 일부 해운사는 화물 계약을 일시 중단하거나 항차 축소
)
,
방안을 검토 중임 특히 전쟁위험특약보험료가 최대 배까지 인상되어 보험비 부담도 크게
.
3
가중되고 있음.
전쟁위험특약보험료 전쟁 무력 충돌 위험 지역을 항해하는 선박에게 기본 보험 외에 추가로 부과되는
*
:
·
해상보험료
중동발 해운 리스크는 국제 에너지 시장에도 직접적인 충격을 미치고 있음
년 월 중순
. 2025 6
,
브렌트유*는 배럴당 달러까지 급등했고 미국산
78
,
WTI**
도 달러에 근접함 특히
는 선박
81
.
LNG
확보 지연과 보험료 부담 증가로 인해 아시아 수입국 대상 스팟거래*** 가격이 전월 대비
이상
20%
상승함 미국 에너지정보청은 해상운송 리스크가 단기 유가뿐만 아니라 해운 운임과 보험료를
.
자극해 최종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함 이에 따라 한국 일본 인도 등 주요
.
,
,
수입국은 장기계약보다 단기계약 중심의 재편과 운임 조건 재조정에 착수하고 있음.
브랜트유 영국 북해에서 생산되는 원유로 세계 원유 거래의 대표 기준유 중 하나 공습 전
달
*
:
,
.
68~72
러를 웃돌다가 공습 발생 후 달러까지 급등함
78
.
미국 텍사스산 경질유로 북미 원유 거래의 대표 기준유 공습 전 약
달러로 공습 직후
** WTI:
,
.
63~65
달러 까지 상승함
83
.
스팟거래 고정 계약이 아닌 시장 상황에 따라 단기 물량을 즉시 사고파는 거래 방식
***
:
,
.
6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5-23
우회 항로 사용은 항차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약
증가시켜
의 온실가스 감축
25~30%
, IMO
전략에 새로운 장애요소로 부각되고 있음 이에 해운사들은 단거리 고효율 항로 확보 바이오연료
.
,
사용 친환경 선박 투자 등을 고려 중이나 지정학 리스크가 이러한 친환경 전략을 후퇴시키는
,
,
역효과로 작용하고 있음 이에 따라 일부 선사는 탄소배출권 구매 또는 상쇄 프로젝트 투자를 병행
.
검토하고 있음.
▶
년 월 열린
2023 7
차 회의에서는 국제해운 부문의 탄소배출을
년까지
IMO MEPC 80
2050
순제로
로 감축하겠다는 전략
(Net-zero)
(MEPC Resolution MEPC.377(80)
이 공식 채택됨 해당
.
전략은 모든 국제 항차에 대해 기후위기 대응 책임을 부여하는 제도적 선언으로 실제 탄소배출이
‘
’
,
증가하는 우회 항로 확대는 규제 충돌 및 대응 비용 증가라는 이중 부담을 초래하고 있음.
현 채 원 연구원
chyun@imkmc.or.kr
7
국제해사동향
해적퇴치 진전 이뤘으나 여전히 도전과제 남아
IMO,
출처
(
: Lloyd’s List, ’25.6.20.)
는 최근 해적 및 무장강도에 대한 대응에서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으나 여전히 다양한 도
IMO
,
전과제가 남아 있다고 발표함.
▶
회원국들은 보고 및 대응 절차가 개선되었음을 인정하면서도 불완전한 자료와 미비한
IMO
,
보고 체계로 인해 실태 파악과 대응에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함.
서아프리카 기니만 해역에서는
년을 전후로 해적 사건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
2021
으며 이는 업계와 해군 간의 협력 강화와 지역 국가들의 역량 제고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됨
,
.
▶
다만 선원 납치 등의 위험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항해사들은 기니만을 여전히 주의가
,
필요한 해역으로 인식하고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음.
한편
는 해적 행위가 특정 지역에서만 발생하지 않으며 전 세계 여러 해역으로 위협이 확
IMO
,
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함 특히 동남아시아 해역과 남미 인근에서는 무장 강도와
.
선원 납치 사례가 증가하고 있음을 밝힘.
▶
년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 해적 사건은
건으로 전년의
건과 비교했을
2024 GISIS
146
,
150
때 큰 차이는 없으며 이는 일부 해역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상보안 위협이
,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줌.
▶
년 말라카 싱가포르 해협의 해적 사건은 전년 건에서 올해 건으로 증가하였으며
2024
-
85
91
서아프리카 기니만은 전년 건에서 올해 건으로 감소함
22
17
.
는 이러한 긍정적 흐름에도 불구하고 해상보안 위협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고 강조하며
IMO
,
싱가포르 해협 등 주요 항로의 해적 위험 대응을 위해
등 국제기구와 지역 국가들의
ReCAAP
국제사회 협력과 정보 공유 강화가 필요하다고 언급함.
박 다 영 연구원
iris23@imkmc.or.kr
8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5-23
유럽연합 해양협약
발표
, ‘
(Ocean Pact)’
출처
(
: The European Ocean Pact, ’25.6.10.)
유럽연합
은 해양보호와 지속가능한 블루이코노미
육성을 위한 포괄적
(EU)
(Blue Economy)
전략인 유럽해양협약
을 발표함
'
(European Ocean Pact)'
.
▶
이번 협약은
년 기준 총부가가치
억 유로 고용인원
만 명에 달하는
2023
(GVA) 2,630
,
488
EU
블루이코노미의 중요성을 반영하고 분산된 해양 정책을 통합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함 특히
,
.
,
는 투자액의 분의 을 과학 혁신에 할당하고
년까지 해양 디지털트윈
EU
3
1
·
, 2030
'
(Digital Twin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등 과학에 기반한 효과적인 해양 관리를 강조하고 있음
of the Ocean)'
.
▶
협약은 아래 가지 핵심 우선순위를 기반으로 주요활동을 설정함
6
.
한편 오세아나
등 개 주요
는 공동 성명을 통해 억 유로 약 조
억
,
(Oceana) 6
NGO
10
( 1 4,700
원 라는 대규모 투자 계획에도 불구하고 법적 구속력이 없다면서 비판적인 입장을 표명함
)
,
.
송 다 영 전문연구원
songd89@imkmc.or.kr
우선순위
주요활동
1. 해양 건강 복원
회원국들이 황폐화된 연안 서식지를 복원하도록 지원
EU
회원국들이 해양보호구역
을 설정하고 관리하도록 장려
(MPA)
공동어업정책
평가 및 어업 및 양식업을 위한
비전 개발
EU
(CFP)
"
2040
"
유럽 블루이코노미 탄소 저장소 조성
년까지 플라스틱 및 영양염류 오염 절반 감축과 유럽 해양 생태계
2030
복원 약속
20%
2. 지속가능한 블루
이코노미 경쟁력
강화
해양 산업 강화
EU
해양연구 해양기술 지속가능한 어업 분야 젊은 전문가 접근성
,
,
증진을 위한
청색 세대 재생 전략
도입
'
(Blue Generational Renewal Strategy)'
블루이코노미 부문 전반의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 및 혁신 확대
3. 연안 공동체 지원
연안 공동체 섬 최외곽 지역을 위한 신규 또는 업데이트된 전략 제시
, ,
연안 공동체를 지속가능하고 경쟁력 있는 블루이코노미의 원동력으로
,
인식
4. 해양 지식 및 혁신
증진
해양연구 및 혁신 전략을 기반으로 하는 야심 찬
해양관측
EU
이니셔티
브
착수
(EU Ocean Observation Initiative)
년까지 유럽 해양 디지털 트윈 운영
2030
해양 청년 및 세대 간 네트워크 구축
EU
5. 해양 안보 강화
연안경비대 협력 및 해상 국경 안보 강화
EU
유럽 해역 내 불발탄
제거를 위한 포괄적 전략
(UXO)
실시간 해양활동 감시를 위한 유럽 무인드론
함대 시범 운영
(UxV)
6. 국제 거버넌스 강화
년 월부터
의무적 시행을 포함한 불법 비보고 비규제
2026
1
IT CATCH
·
·
어업의 제재 강화
(IUU)
국가관할권 이원지역의 생물다양성
협약의 신속한 비준
(BBNJ)
및 이행 장려,
개발도상국 지원을 위한 글로벌 해양 프로그램에 천만 유로 지원
4
야심 찬 글로벌 플라스틱 협약 체결을 위한 노력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