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년 생물 다양성 보호와 탈탄소화 계획 수립
GIA, 2024
년 생물 다양성 보호와 탈탄소화 계획 수립 출처
<GIA, 2024
,
: IMO>
해양생물안전글로벌산업연맹(GIA)*은 해양생물의 다양성 보호와 해운 탈탄소화를 위한 IMO
의 주요 환경목표를 위해
년 사업 계획을 수립하였음
2024
.
가 공동 추진하는 글로파울링
* Global Industry Al iance for Marine Biosafety: IMO, GEF, UNDP
파트너십 프로젝트
의 일환으로
년 월에 출범한 민 관
(GloFouling Partnership Project)
2018 12
․
파트너십 이니셔티브. 선체부착생물 관리 를 통해 생물 다양성 보호 및 해운 탈탄소화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임.
제
호
24-10 ❘ 2024. 3. 11.
2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4-10
▶
는 해운선사 해양부착생물 관리기업 연구기관 선급협회 등 개 회원기관 및 개
GIA
,
,
,
14
1
옵서버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음.
지난 월 일 개최된
년 첫 번째
회의에서는 올해 완료해야 할 활동을 다음과 같이
2 22
2024
GIA
정리하였음.
-
선박을 통한 외래침입종의 확산 및 마찰저항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에 대해 설명하는
분 분량의 선체부착생물 다큐멘터리 제작
30
년
발간물 검토 및 업데이트 선체부착생물 관리와 관련된 현존 규제와 신규 규제
- 2022 GIA
,
간 표준과 관행 간 비교 분석 및 편집
,
선박 규제 가용성 및 격차 위험 평가 관리 및 선례 그리고 데이터 가용성 등을 설명하는
-
,
,
,
,
항만 관점에서의 선체부착생물 관리에 대한 연구서 발간
선체부착생물 수중청소의 결과에 따른 수질 변화에 관한 연구
-
한편 방오도료 제조업체인 니폰페인트마린
이 최근
에 가입하였음
,
(Nippon Paint Marine)
GIA
.
대표는 산업과 공공부문의 협업은 목표를 가장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Gladys Goh NPM
“
아주 중요하다 라고 말했음
.”
.
년
회의는 총 회로 계획되어 있으며 차기 회의는 월에 예정되어 있음
2024 GIA
4
6
.
김 현 중 영문에디터
kem5651@imkmc.or.kr
3
국제해사동향
제 차
회의
년까지 수중청소 지침서 개발에 합의
11 PPR
, 2025
제 차
회의 주요 논의결과 정리
- 11 PPR
-
출처
홈페이지
(
: IMO
, ’24. 3. 1.)
지난 월 일부터 일까지 개최된
제 차 해양오염 방지 및 대응 전문위원회
는
2 19
23
IMO 11
(PPR)
아래와
같이 총 개 의제를 논의하였으며 특히
18
,
<
의제
의제
의제
의제
에 대해
5>, <
10>, <
12>, <
13>
중점적으로 논의함.
의제 1
의제의 채택
의제 2
타 기구 결정사항
의제 3
선박운송 화학제품의 오염성 위해성 평가 및
의 개정
·
IBC Code
의제 4 고점성 및 고용융점을 지닌 화물에 대한 화물창 스트리핑 탱크세정 조작 및
,
예비세정의 효과성을 개선하기 위한
의 개정
MARPOL Annex I
의제 5
수중청소 관련 사항에 대한 지침서 개발
의제 6
국제해운에서 배출되는 블랙카본이 북극지방에 미치는 영향
의제 7
수질 환경에 배출되는
배출수 평가 및 통일된 규칙과 지침 마련
EGCS
의제 8
선박디젤엔진용 다중 엔진운전프로파일의 사용에 대한
부속서 및
MARPOL
VI
개정안 개발
NOx Technical Code
의제 9
지방정부 및 주요기관의
협약 및
의정서 시행을 위한 지역
OPRC
OPRC-HNS
차원의 해양유출 긴급계획 개발을 위한 모범사례 지침서 개발
의제 10 북극해에서 선박의 중유 사용 및 운반시 위험요인 감소를 위한 기준 개발
,
의제 11
지침서 검토와
증서 및 기름기록부 개정
IBTS
IOPP
의제 12
부속서 와 관련 지침서의 개정
MARPOL
Ⅳ
의제 13 선박 기인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처리를 위한 조치 계획의 후속 작업
의제 14
환경 관련 협약 조항들의 통일해석
IMO
의제 15 격년 의제 및
잠정 의제
PPR 12
의제 16
년 의장 및 부의장 선출
2025
의제 17 기타 의제
의제 18 해양환경보호위원회 제출 보고서
의제 5(수중청소 관련 사항에 대한 지침서 개발 논의 결과
년 완료를 목표로 수중청소
)
, 2025
계획 수행 보고 수중청소장비 및 수중청소서비스업자의 검증 등을 고려한 수중청소 지침서
,
․
․
「
」
초안 개발을 위한 회기간 실무작업반 개설에 합의함.
4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4-10
의제 북극해에서 선박의 중유 사용 및 운반 시 위험요인 감소를 위한 기준 개발 논의 결과
10(
,
)
,
작업반 회의를 통해 블랙카본 관련 개의 지침서 목표 기반의 블랙카본 통제에 관한 모범사례
2
(
①
지침서 블랙카본 데이터 측정모니터링 및 보고에 관한 지침 개발을 완료함
,
)
.
②
․
▶
개발된 지침서는
제 차 해양환경위원회
에 채택을 요청하기로 함
IMO 82
(MEPC)
.
의제
부속서 와 관련 지침서의 개정 과 관련해서는
부속서 및 관련
12(MARPOL
IV
)
MARPOL
IV
지침서 개정을 위한 작업 일정을 중점적으로 논의하여 다음과 같이 계획을 수립함.
① 형식승인 시험기준 개정작업 완료
년
(PPR 13, 2026 )
부속서 및 시행지침의 개정작업 완료
년
MARPOL
IV
(PPR 15, 2028 )
②
개발된 모든 개정안에 대한 승인 및 채택
년
(MEPC 89, 2029 )
③
▶
또한 원활한 개정작업을 위해 회기간 실무작업반 개설을 결정하고 아래와 같은 위임사항을 정함
,
,
.
분뇨처리장치의 배출기준 및 성능시험 이행에 관한
지침 개정 안 개발
2012
( )
①
부속서 의 이행지침 개발
MARPOL
IV
②
오수관리 계획서 및 오수 기록부에 대한
부속서 및 관련 지침 개정 안 개발
MARPOL
IV
( )
③
의제 선박 기인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처리를 위한 조치 계획의 후속 작업 논의 결과 해양
13(
)
,
플라스틱 쓰레기 발생의 주요 원인인 유실 어구와 관련하여 유실어구 보고 제도 개발을 위해
‘
’
데이터 수집 목적을 결정하고 어선에서 발생한 어구 유실사고가 연안국
의
,
(coastal state)
해양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연안국 보고 여부에 대해 차기
에서 논의하기로 함
PPR 12
.
▶
유실어구 보고 절차 및 항목 등의 논의를 지속하기 위한 회기 간 실무작업반 개설에 합의하고,
다음과 같은 위임사항
을 정함
(ToR)
.
당사국의 행정업무가 가중되지 않도록 현존 국제규정
협약 지역수산관리기구
(MARPOL
,
①
규정 등 을 검토하여
보고 규정의 중복사항 식별
(RFMO)
)
IMO
의 결과를 기반으로 유실 어구와 관련한 의무적자발적 보고 항목 식별
② ①
․
▶
또한 화물 컨테이너로 해상 운송되는 플라스틱 펠릿의 운송규제를 위한
회람문서 최종
,
MEPC
안을 마련하였으며
에 승인을 요청하기로 함
, MEPC 81(’24.3)
.
황 대 중 전문연구원
hdaejung@imkmc.or.kr
5
국제해사동향
시행에 따른 해운업계의 도전과제 증가
EU ETS
출처
(
: Lloyd’s List, ’24. 3. 1.)
온실가스 배출량과 기타 규정 준수에 필요한 데이터를 매년 의무적으로 보고토록 하는 EU
배출가스 거래제
가
(EU ETS)
불명확한 규정과 필수적인 규정 준수를 위한 인프라 부족으로
시작부터 난관에 부딪히고 있음.
▶
해운기업들이 직면한 주요 과제로는
의 불명확한 규정
허용량에 대한 제한된 접근성
ETS
, EU
,
필수계좌인 연합등록부
계좌 개설의 어려움 거래 당사자를 둘러싼
(Union Registry)
,
불확실성 등이 꼽혔음.
년 월에
용선계약 조항이 늦게 도입되면서 거래 및 규정 준수와 관련하여 이해관계
2023 12
ETS
자들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음 특히 벌크선사들은 중요한 조항에 합의하지 못하여 용선업계가
.
"
직면한 가장 큰 도전 중 하나 로 묘사되는 위험에 처하게 됨
"
.
한편으로는 산업 수요 감소 재생 에너지 사용 증가 탄소 국경 조정 제도 와 같은 요인이 최근
,
,
*
가격 폭락에 영향을 미치면서 유럽 배출권
가격의 주요 단점인 예측의
(EUA, EU Al owances)
어려움이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는 시각도 있음.
온실가스 배출규제가 느슨한 국가에서 생산된 제품을 유럽연합
로 수출할 경우 해당 제품 생산과정
*
(EU)
에서 나오는 탄소배출량 추정치에 세금을 부과하는 조치
▶
외환시장의 변동성
내외 보다 월등히 높은
의 시장 변동성
으로 인해
(10%
)
EUA
(44%)
화주들은 현물시장 거래에 참여해야 한다는 권고사항도 제시됨.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해운업계 전문가들은 향후
개월 동안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해운
“
2~3
업의 역사적 적응력에 대한 신뢰를 토대로 본다면 해운업계가 이 난관도 성공적으로 헤쳐 나갈
,
것이다 라며 낙관적으로 전망하고 있음
”
.
박 다 영 연구원
iris23@imkmc.or.kr
6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4-10
기후솔루션(SFOC) 한 미 일 녹색해운항로 잠재성 및 탈탄소화 협력 강조
, · ·
출처
(
: Marine Insight, ’24. 2. 14.)
년 월 기후위기 대응 및 친환경 에너지 전환 관련 정책을 연구하는 비영리단체인
2024 2 ,
기후솔루션
가 발간한 보고서
(SFOC)
(Achieving Net Zero in International Shipping through
Korea-US- Japan
는 한 미 일 국의 주요 컨테이너 항로의
Green Shipping Corridor)
· · 3
CO2
배출량 분석을 기반으로 국 연합 녹색해운항로 구축의 잠재성 및 기대효과를 전망함
3
.
▶
이 보고서에서는 부산 도쿄 항로와 부산
항로를 운항하는 컨테이너선들이 무탄소 연료로
-
-LA
전환 시 연간 CO2 배출량을
각각
만톤과
만톤 감축할 수 있다고 예측함
2,063
2,060
.
한 미 일 녹색해운항로 구축시 항로별
<
CO
․ ․
2
배출량 감축 전망치 출처
보고서
,
: SFOC
>
기후솔루션
은
(SFOC)
녹색해운항로의 본질적인 목적이 단순히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탈탄소화
관련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있음을 언급하며 추진 중인 여러 탈탄소화 정책을 환경보전
,
측면과 더불어 해운산업의 경쟁력 강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함을 강조함.
또한 기후솔루션
은
온실가스 전략으로는 국제해운의 온실가스 배출이
,
(SFOC) “2023 IMO
파리협정의
제한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 이라는 국제친환경교통위원회
의 연구
1.5
”
(ICCT)
℃
결과를 언급하며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글로벌 차원에서 항만 간 친환경연료
,
(Net-Zero)
공급망 파트너십 구축 등 적극적인 협업이 필요하다고 밝힘.
황 대 중 전문연구원
hdaejung@imkmc.or.kr
7
국제해사동향
싱가포르 해기사협회 대체연료 관련 선원교육에 투자
,
출처
(
: Seatrade Maritime News, ’24.2.29.)
선주들이 이중연료 추진선박
에 투자를 시작하면서 대체연료 취급 관련
(dual-fuel vessels)
선원교육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음.
이러한 가운데 싱가포르 해기사협회
는 산하
(SMOU, Singapore Maritime Officers Union)
교육기관인 웨이브링크 해사 시뮬레이션 센터 에
만 싱가포르 달러 한화 약 억 원 를
‘
’ 275
(
27
)
투자함.
▶
동 센터는
기반의 첨단 시뮬레이션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차세대 연료 메탄올 암모니아
VR
,
(
,
등 에 대해 교육할 수 있도록 설계됨
)
.
웨이브링크 해사 시뮬레이션 센터 출범식에서
싱가포르 지속가능환경부
Grace Fu
장관
은 지속가능한 해운으로
(Singapore Minister for Sustainability and the Environment) “
전환하는 과정에서 해운산업의 핵심은 사람 임을 강조하며 해운업계의 포괄적인 변화를
”
, “
지원할 수 있도록 해사인력의 준비 및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고 언급함
”
.
국제운수노동자연맹
사무총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기존 해사인력에 대한
Stephen Cotton
(ITF)
기술교육 전환에 있어서 어떤 연료를 중점적으로 교육해야 하는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지적함.
▶
가 소속된 정의로운 전환 태스크포스
가 의뢰한
ITF
(Just Transition Taskforce)
DNV Maritime
연구에 따르면 재교육이 필요한 해사인력은 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80
.
안 삼 엘 연구원
samela@imkm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