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제해운의 성평등 확대를 위한 정책 강화 의지 표명
IMO,
출처
(
: IMO 홈페이지, ’25.3.7.)
년 월 일 국제해사기구
본부 런던 에서 개최된
2024 3 7 ,
(IMO)
(
)
‘
세계 여성의 날 매년 월 일
(
3 8 )’
기념 특별 행사에서
사무총장 아르세니오 도밍게즈는 해운업계 내 여성의 역할 확대 및
IMO
성평등 촉진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한층 강화한다고 발표함.
▶
특히 해운업계 내 성별 데이터 불균형 문제의 해결이 성평등 증진의 핵심임을 강조하며
,
‘
’
,
이를 위해 이해관계자 모두가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고 촉구함 또한 그는 성평등은
.
,
“
여성만의 과제가 아니라 남성
,
의 능동적인 참여와 지원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
.
고
”
밝히며 포용적이고 균형 잡힌 해운 산업 환경 조성을 위한 공동
,
의 노력을 당부함
.
제
호
25-10 ❘ 2025. 3. 17.
2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5-9
이번 특별 행사에는
년 발간된
보이지 않는 여
2019
Invisible Women(
『
성들 의 저자이자 저
)
』
명한 페미니스트 활동가인 캐롤라인 크리아도 페레스
가 발표자로서
(Caroline Criado Perez)
참석하여 성별 데이터 편향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여성에
,
,
게 구조적으로 불리한 영향을 미쳐왔는지를 설명함.
▶
끝으로 캐롤라인 크리아도 페레스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반영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성평등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함
·
,
.
이와 관련하여
는 현재
해운업 여성 인력 조사
IMO
‘2024
(Women in Maritime Survey
를 진행 중이며 해당 조사 결과를
년 월 발표할 예정임을 밝힘 이번 조사는 해운
2024)’
,
2025 5
.
업 내 여성 인력의 비율 직무별 분포 경력 개발 기회 등을 분석하여 보다 실효성 있는 성평등
,
,
,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활용될 계획임.
▶
는
년부터 성평등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여성의 해운업 진출을 지속 확대해
IMO 1988
왔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교육 및 리더십 프로그램을 추진함 도밍게즈 사무총장은 앞으로
,
.
패널로 참석하는 모든 행사에서 성별 균형이 유지된 경우에만 참여하겠다는 원칙을 밝히며,
국제해운의 성평등 실현에 대한 의지를 표명함.
황 대 중 전문연구원
hdaejung@imkmc.or.kr
3
국제해사동향
공지
IMO
회의 및 행사 공지
[
]
사무국
해양환경국 국장
채용 공고
(
) IMO
(MED, D-2)
(CL.4977, '25.3.5.)
▶
는 해양환경국을 총괄할 국장
직위를 모집함 지원 마감일
IMO
(D-2)
(
: '25.3.11.)
▶
해당 직위는 해양 환경 보호 정책 수립 및 실행 등 총 책임자 역할을 담당하며 해양환경보
,
호위원회
업무에 관여함
(MEPC)
▶
동 직책 수행
을 위해 년 이상의 관련 경력과 해양 환경 해사 행정 또는 유관 분야의 학위
15
,
가 요구됨
▶
을 포함 국제기구 경험을 우대하며 전략적 리더십 및 예산 인사 관리 능력이 필수적으
UN
,
·
로 요구됨
사무국
프랑스어 번역사
채용 공고
(
) IMO
(P-3, CD)
(CL.4981, '25.3.5.)
▶
는 프랑스어 번역사
회의국 직위를 모집함 지원 마감일
IMO
(P-3,
)
(
: '25.3.11.)
▶
담당 업무는 영어 및 스페인어에서 프랑스어로 문서 번역을 수행하며 최소 년 이상의 전
,
5
문 번역 경력을 요구하며 해사 및 법률 용어에 대한 이해도를 가지고 있어야 함
,
▶
추가로 번역 지원 도구
활용 능력 및 국제기구 근무 경험이 우대됨
,
(CAT)
사무국
법무관
채용 공고
(
) IMO
(P-2, LED)
(CL.4982, '25.3.5.)
▶
는 법무 및 대외 협력국에서 근무할 법무관
법무 및 대외 협력국 직위를 모집함
IMO
(P-2,
)
지원 마감일
(
: '25.3.13.)
▶
동 직책은 계약서 협력 협정 법률 자문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법적 분쟁 해결 및 정책 분
,
,
,
석을 지원함
▶
최소 년 이상의 법률 관련 경력과 법학 학위가 요구되며 유엔 시스템 및
협약 관련
2
,
IMO
지식이 우대됨
▶
법률 문서 작성 및 분석 능력 연구 역량 세부 사항에 대한 높은 주의력이 요구됨
,
,
4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5-9
사무국
(
)
기술협력 및 이행국 프로그램 책임자
채용 공고
IMO
(P-2, TCID)
(CL.4984, '25.3.6.)
▶
는 기술협력 및 이행국에서 근무할 프로그램 책임자
IMO
(P-2
직위를 채용함 지원 마감일
)
(
:
'25.4.4.)
▶
해당 직위는
기술
IMO
협력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 관리 개발도상국 지원 활동 조정 등을 담
,
당함
▶
지원자는 관련 분야 경험과
및 국제 해사 규정에 대한 이해가 요구됨
IMO
5
국제해사동향
상선 북태평양 항해 중 악천후로 컨테이너 유실 및 파손
SM
,
출처
(
: The Maritime Executive, ’25.3.6.)
상선 자사 선박 출처
< SM
,
: The Maritime Executive >
월 일
상선이 운항하는 컨테이너선이 북태평양 항해 중 심한 폭풍우를 만나 컨테이너가
3 5 , SM
유실되고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함.
▶
사고 선박인 SM 포틀랜드
호는
(SM Portland)
4,
급 길이
의 컨테이너선으로
228TEU
261m
년 건조되어
년 상선에 인수됨
2009
2021 SM
.
▶
사고 이후 선박은 밴쿠버로 항해를 재개했으며 도착 후 캐나다 당국의 조사를 받을 예정임
,
.
상선은 악천후로 인해 선박이 심하게
SM
“
횡동요(rol ing)하면서 컨테이너
개가
115
유실 붕괴 손상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고 밝혔으며 이에 따라 화주들은 본인의 화물이 사고
·
·
”
,
선박에 적재되어 있었는지 확인할 것을 안내받음.
상선에 따르면
SM
, SM
포틀랜드호는 중국과 한국을 기항한 후 밴쿠버로 출항했고 당초 월
,
3
일 도착 예정이었음 그러나 베링해 근처에서 강한 겨울 폭풍을 만났으며
신호 분석 결과
10
.
, AIS
월 일 경로를 변경한 후 월 일 항해를 재개한 것으로 나타남
3 4
, 3 5
.
6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5-9
해당 선박은 밴쿠버 도착 후 캐나다 교통부
와 캐나다 해안경비대
(Transport Canada)
(Canadian
의 조사를 받을 예정으로 화물 관련 일정이 지연될 수 있음
Coast Guard)
,
.
한편 이번 사고는 지난
년 월
호에서 발생한 북태평양 컨테이너 유실 사고
,
2020 11 ONE Apsus
이후 년 만에 발생한 유사 사고임 당시
호는
4
.
ONE Apsus
1,
개 이상의 컨테이너를
800
유실했고 같은 해 겨울철 머스크 에센
및 머스크 아인트호벤
,
(Maersk Essen)
(Maersk
도 컨테이너 유실 사고가 발생한 바 있음
Eindhoven)
.
이처럼 겨울철 잇따른 컨테이너 유실 사고로 인해 업계에서는 선박 횡동요를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마련하고 승무원 교육 강화 및 위험 해역에서의 선박 안전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하는 등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세계해운협회
의
년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년 한 해 동안
(World Shipping Council) 2024
, 2023
해상에서 유실된 컨테이너는
만 개 중
개로 감소
250
221
함.
최근
는
년 컨테이너 유실 사고 보고를 의무화하는 규정을 강
IMO 2024
제화하는 조치를 시행한
바 있음.
안 삼 엘 연구원
samela@imkmc.or.kr
7
국제해사동향
북해에서 충돌한 유조선과 화물선 화재 유출 사고 발생
,
·
출처
(
: BBC, ’25.3.11.)
년 월 일 오전 시 분 현지 시각 영국 잉글랜드 북동부 그림스비 인근 이스트 요크셔
2025 3 10
9 48 (
),
해안에서 약 마일 떨어진 해상에서 유조선과 화물선이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함 사고 당시 미국
10
.
국적의 유조선 스테나 이매큘럿
호는 미 국방부 지원을 위한 제트
항공유
(Stena Immaculate)
A-1
만
1 8,
이 적재돼 있었으며 포르투갈 국적의 화물선 솔롱
호는 고독성 화학물질인 시
000t
,
(Solong)
안화나트륨
개 컨테이너를 적재한 채 로테르담으로 향하던 중이었음 충돌 직후 스테나 이매큘
* 15
.
럿호에서 연쇄 폭발이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두 선박 모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짐
,
.
* 살충제나 금속을 도금할 때 쓰이는 맹독성 물질로 물과 접촉하면 시안화수소 가스
가 만들어짐 시안화나트륨이
.
녹은 물이 토양이나 하천으로 스며들 경우 주변 생태계에 치명적인 위협이 될 수 있고 사람에게 노출될 경우 호
,
흡기 피부 눈 등에 치명상을 입힐 수 있음
,
,
.
영국 해안경비대는 즉시 구조 작전에 돌입해 선원 명을 구조했으며 이 중 한 명은 병원으로 이
36
,
송되었으나 솔롱호 선원 한 명은 실종된 상태로 수색 작업이 중단됨 사고 당시 솔롱호가 노트
.
16
약
의 속도로 스테나 이매큘럿호
( 30km/h)
와 충돌한 것으로 조사되
었으며 충돌 직후 선원들은 급
,
히 구명보트로 대피한 것으로 알려짐.
이번 충돌로 스테나 이매큘럿호의 화물 탱크가 파손되면서 항공유 일부가 북해로 유출됨 해당 선
.
박을 운영하는 크롤리
에 따르면 스테나 이매큘럿호 내부 화물 탱크 손상으로 다수의 폭
(Crowley)
발이 발생했고 이에 따라 즉각적인 화재 진압이 어려웠다고 밝힘 사고 직후 해양 서비스 업체 스
,
.
비처(Svitzer)의 마이클 패터슨 전무는 소속 선박 척을 현장에 투입해 진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4
고 발표함.
해당 사고로 인해 환경적 피해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음 시안화나트륨이 바닷물과 접촉할 경우
.
,
유독성 가스인 시안화수소 가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환경단체 그린피스
는 이번
(Greenpeace)
사고로 인해 다중 독성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함.
영국 정부는 현재 사고 원인 조사와 오염 대응을 위해 교통부 및 해양경비대와 협력하고 있다고 발
표함 현재 영국 험버 강 하구는 폐쇄되었으며 인근 항로 운항 일정도 불확실한 상태임 해당 구간
.
,
.
은 영국 북동부와 네덜란드 독일을 연결하는 주요 해상 교역로로 교통량이 많은
,
,
수로로 알려져 있
어 사고로 인한 영향이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됨.
8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5-9
현 채 원 연구원
chyun@imkmc.or.kr
<선박 충돌 후 화재 장면 출처
,
: BBC>
9
국제해사동향
인도
MSC·CMA CGM,
조선업계와 협의
출처
(
: Maritime Executive, ’25.2.18.)
인도가 세계적인 조선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노력을 한층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와
, MSC
그룹의 경영진이 인도 조선업계와 협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CMA CGM
알려짐.
▶
과
가 인도 시장 확대
CMA CGM MSC
동향은 머스크의 인도 내 물류 및 공급망 확장을
추진한 데 따른 움직임으로 분석되며 이로 인해 최근 인도 경제 성장과 수출입 물동량
,
증가로 글로벌 해운사들의 인도 시장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임.
본사에서
로돌프 사데
와 인도 총리 나렌드라 모디
CMA CGM
CEO
(Rodolphe Saadé)
의 회담에서 인도 조선업 발전 방안을 논의함
(Narendra Modi)
.
▶
모디 총리는
년까지 세계 대 조선국
년까지 대 조선국으로 성장하겠다는
2030
10
, 2047
5
목표를 밝히며
이 인도 조선업에 적극 협력해 줄 것을 요청함
, CMA CGM
.
▶
이에
은 인도 조선소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연구팀을 파견하고 일부 선박을
CMA CGM
,
인도에 등록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함 또한
의 자산 및 운영 부문 총괄
.
CMA CGM
부사장이 인도를 방문해 조선 및 선박 수리 분야 협력 가능성을 조사할 예정임을 밝힘.
소렌 토프트
와 인도 산업통상부 장관 피유시 고얄
은 인도
MSC CEO
(Soren Toft)
(Piyush Goyal)
내
륙 컨테이너 터미널 선박 건조 및 유지보수 컨테이너 제조업 등에 대한 투자 가능성을 논의함
,
,
.
▶
인도 정부는 해양 개발 기금
을 통해 조선업 경쟁력을 높이고
(Maritime Development Fund)
,
알랑
선박 재활용 단지를 활용해 신조선 건조를 유치하려는 정책을 추진 중임
(Alang)
.
▶
는 인도의 해운 물류 시장 성장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향후 조선소 협력 및
MSC
·
,
직접 투자 계획을 발표할 가능성이 있음.
글로벌 해운사들의 인도 시장 진출이 본격화되면서 인도 내 물류 경쟁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
,
고 있음 머스크는 기존 강점을 살려 내륙 물류 서비스 확장에 집중하고
과
는
.
, CMA CGM MSC
해상운송 및 터미널 운영 강화를 중심으로 경쟁할 것으로 전망되어 향후
두 회사의 인도 시장 전
략이 머스크와 어떻게 차별화될지 주목됨.
박 다 영 연구원
iris23@imkm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