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박에너지효율지수
이해를 위한 영상 자료 개발
Low Carbon GIA,
(EEXI)
이해를 위한 영상 자료 개발 출처
<EEXI
,
: IMO>
Low Carbon GIA*
가 선박에너지효율지수
에 관한
(Energy Efficiency Existing Ship Index, EEXI)
영상 자료를 개발하였음
프로젝트를
* Low Carbon GIA(Global Industry Alliance): IMO-Norway GreenVoyage 2050
「
」
통해
년 창설된 연구 기능을 가진 기구로서
와 노르웨이 정부가 공동 추진하고 있으며
2020
, IMO
선박의 친환경 및 저탄소 에너지 전환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음
영상 자료는 약 분 길이의 영상 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
요건
달성값 및
10
3
, IMO EEXI
, EEXI
제
호
23-34 ❘ 2023. 8. 28.
2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3-34
허용값 산정방법 그리고 검사와 증서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
「
프로젝트
IMO-Norway GreenVoyage2050
」의 기술분석가
는
에 관한
Minglee Hoe “EEXI
지식을 습득하길 원하는 기관 선주 및 선박운영자를 지원하는 것은
온실가스 전략에 발맞춰
,
IMO
산업계가
요건을 달성하고 개선을 이루는 데에 중요하다 라고 밝힘
EEXI
”
에 관한 영상 자료는
홈페이지에서 시청 가능하며 홈페이지의 가장
EEXI
Green Voyage 2050
하단에는 영상 자료를 기반으로 한 퀴즈도 함께 제공하고 있음
규제는
부속서 에 명시된 의무사항이며
의 온실가스 감축 단기조치 중의
EEXI
MARPOL
VI
IMO
하나로
년 월부터 시행되었음
2023 1
김 현 중 영문에디터
kem5651@imkmc.or.kr
3
국제해사동향
기타 공지
IMO
회원국 공지
[
]
사우디아라비아 해양지속가능성에 대한 노력 알림
(
)
(CL.4762, '23.8.10.)
▶
지속가능성은 해양 경쟁력을 유지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
'
,
사우디아라비아도
와 타 회원국과의 협력을 통해 해양 지속가능성을 위해 노력
IMO
*하고 있음을 알림
*
지역 기후변화센터 설립
의
등의 이니셔티브를 지원하고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 IMO GloFouling, GloLitter
,
자체적으로도 탈탄소화 전환을 가속화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전개 중임
▶
사우디아라비아는
월 초 지속가능한 해양산업 컨퍼런스 를 제다
에서 개최할
'23.9
“
"
(Jeddah)
예정이며 자세한 내용은 해당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함
,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민간 선박 공격에 대한 규탄
(
)
(CL.4764, '23.8.17.)
▶
러시아는 자국 유조선인
호가 케르치 해협의 정박지에서 우크라이나 보안국의 무인 해양
SIG
드론 공격을 받았음을 알리며 민간 선박에 대한 우크라이나의 테러 공격을 강력히 규탄함
,
▶
동 공격으로 사망자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호는 엔진실 쪽에 구멍이 생기는 등의 피해가 발생함
, SIG
4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3-34
와
국제해운 탄소중립을 위한 규제 강화
EU IMO,
출처
(
: SAFETY4SEA, ’23.8.17.)
국제해운의 해양환경 규제를 선도하고 있는 유럽연합
은
년 월 개편된 배출권
(EU)
2023
4
거래제
법안을 최종 승인하며 유럽지역에 입 출항하는 선박에 대한 탈탄소화 규제를
(ETS)
·
강화하고
는
년 월 개정된
온실가스 전략 채택을 통해 본격적인 선박 온실가스
, IMO 2023 7
‘2023
’
감축을 위한 기술적 규제 이행 및 경제적 조치 도입을 앞두고 있음
년 월 일
집행위원회는
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년 수준 대비
2021 7 14 , EU
2030
1990
55%
감축하기 위한 입법안*을 발표했으며 동 법안에는
년부터
배출권 거래 시스템
,
2024
EU
(EU
을 해운 산업까지 확대 적용하는 내용이 포함됨
ETS)
법안은 탄소 가격 결정 감축목표 설정 규정 강화 및 사회기후기금 조성 등에 관한 규제가 주 내용이며
*
,
,
,
년 월
개국을 대표하는 이사회에서 시행을 최종적으로 확정함
2023 4 EU 27
제도의 개념도 출처
<EU ETS
,
: Carbon Market Watch>
년부터 해운 산업에 적용되는
의 규제대상 온실가스 물질은 이산화탄소
2024
ETS
(CO2
이지만
)
,
년부터는 메탄
2026
(CH4
과 아산화질소
)
(N2
까지 확대됨 또한 규제대상 선박이 현재는 총톤수
O)
.
,
5
국제해사동향
톤 이상이지만
년부터는
톤 이상으로 강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임 적용대상
5,000
, 2025
400
.
선박의 확대 방안은
년 집행위원회에서 결정될 예정임
2026 EU
▶
독일과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선박 관리 전문회사인
부회장
ZEABORN Ship Management
는
제도의 원활한 이행 및 불이익 방지를 위해 다음의 가지를 당부함
Tjard Jurgens ETS
3
연료 소모량 등 정확한 데이터 보고를 통한 계산 오류 방지
1)
배출권 거래에 있어 절차상 일정 시간이 소요되므로 제도 이행에 대한 면밀한 사전 점검
2)
컨설팅 등 회사에 유리한 제도 이행을 지원할 수 있는 전문기관과의 협력
3)
년 월
제 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
회의에서 채택된
온실가스
2023
7 , IMO 80
(MEPC)
‘2023
전략에는 구체적인 경제적 조치가 확정되어 명시되진 않음 현재 와
규제의 경제적
’
.
EU IMO
조치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탄소에 대한 부과금 메커니즘이며 국제해운회의소
중심으로
(ICS)
제안된 GHG Levy* 제도가 주목받고 있음
온실가스 부담금
선박 연료유 사용량 보고제도
를 활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당
*
(GHG Levy) :
(IMO DCS)
부담금을 부과하여 기금을 운용하는 제도
▶
는
제도를 지지하며 탄소 부과금과 탈탄소화 기금 조성 운영 방안이 가장
ICS GHG Levy
,
·
타당하고 실행 가능한 온실가스 감축 방향으로 이러한 차원에서 온실가스 배출량 당 균일하게
부담금을 부과하는 방안이 가장 공평한 조치임을 강조한 바 있음
연료유 전주기 및 에너지효율 규제 개념도 출처 논문저널
<IMO
,
: [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위 그림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규제의 일부 관계를 간략히 보여주며 현재 시행되는 다양한
IMO
,
조치와 결합되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경제적 조치가 결정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함
황 대 중 전문연구원
hdaejung@imkmc.or.kr
6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3-34
휴스턴항 선박의 입항 절차 개선을 위해
네트워크 가입
,
Portchain
출처
(
: JOC, ’23.8.17.)
휴스턴항은 컨테이너 터미널 기술공급업체인
의 데이터 공유 플랫폼
Portchain
‘Portchain
에 가입하였으며 해당 플랫폼을 통해 고객이 선박의 입항 시간을 확인하거나 이를
Connect’
,
조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함
▶
휴스턴항은 사우스캐롤라이나항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를 사용할
‘Portchain Connect’
예정임
▶
휴스턴항 관계자는 해당 플랫폼 사용을 통한 자동화된 데이터 교환과 디지털 협업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개선효과를 기대함
시간 노력 절약
선석
스케줄 절차 개선
고객과의 협력
·
,
(berth)
,
➊
➋
➌
플랫폼은
년에 독일 선사인 하파그로이드
에 의해 시범적으로 사용되었으며
2022
(Hapag-Lloyd)
,
이후
이 선박의 기항 조정 절차를 개선하고자 하파그로이드와 계약하여 상용화됨 현재
Portchain
.
은 전 세계적으로 개 터미널과 계약하였음
Portchain
76
의 공동 창업자
는 기존의 선박 기항 조정 절차가 운송과 터미널에
Portchain
Thor Thorup
비효율적이라고 지적함
▶
기존 이메일 스프레드시트
등을 통한 절차는 느릴 뿐 아니라 실수가 발생할 수 있음
,
.
따라서 선박이 너무 빨리 입항하거나 항구 밖에서 대기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터미널에 인력을 배치하였으나 선박이 입항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함
플랫폼을 사용할 경우 선박 입항과 관련된 사항을 디지털화하여 크레인 인력 사용과 선박 속도를
,
·
효율적으로 계획할 수 있고 선박의 정시 도착을 가능하게 함 이는 곧 연료 배출량 저감으로
.
이어지며
와 유럽의 환경규제 수준에 대응 충족할 수 있도록 함
IMO
·
안 삼 엘 연구원
samela@imkmc.or.kr
7
국제해사동향
일본 자율운항선박 프로젝트
년까지 상업화 목표
, 2025
출처
(
: Lloyd’s List, ’23.7.21.)
민간 비영리 단체인 일본재단
은 일본의 자율운항선박 프로젝트인
(The Nippon Foundation)
의 두 번째 단계가 시작됨을 발표함
프로젝트는 일본재단이
MEGURI 2040
. MEGURI 2040
억엔 약
억원 을 투자하여 추진 중이며 자국 내에서 화물을 수송하는 연안선박을
88
(
920
)
,
무인화하여 일본의 물류 경제 사회 인프라 혁신을 꾀하고 관련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임
·
·
▶
프로젝트는 총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년까지 자율운항선박의 상업화를 이루겠다는 목
3
, 2025
표로 총 개 주요 해운사 및 연구기관이 참여하고 있음
60
프로젝트의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음
▶
단계에서는
년부터 자율운항선박 실증시험을 실시하였으며
1
2022
,
장거리 시간 이상 항행
(12
)
,
혼잡해역 항행 됴쿄항 고속 항행 노트 이상 등의 다양한 시험을 진행함
(
),
(25
)
▶
단계는 본격적인 자율운항선박 상용화를 위한 단계로 지난 월에 시작되었음 조선해양분야
2
7
.
개 기업을 포함하여 기상 통신 보험
싱크탱크 등 다양한 분야의 총 개 기업이 완전
30
,
,
, IT,
60
'
자율운항 선박의 개발을 위해 연구 및 시험을 진행하고 있음
'
▶
단계는
년까지 내항선의 절반을 무인화하겠다는 것을 목표로 진행될 예정이며 연안운
3
2040
,
송 관련 노동력 부족 해상사고 외딴 섬 운송항로 유지 관리 등의 어려움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함
,
,
·
일본재단의 자율운항선박 전경 출처
<
,
: The Nippon Foundation >
8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호
IMO
&
23-34
프로젝트의 주요 참여기업 현황은 다음과 같음
▶
미쓰이
라인 단계 테스트에서 수집된 데이터와 발견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실무그룹을
OSK
: 1
구성해 기존 컨테이너선에 대한 해상 시험을 주도하고 단계 자율운항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
2
임 해상 시험은 경로 계산 충돌 회피 및 이미지 인식의 정확성을 향상하여 항해 부분의 업무량
.
,
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함
▶
비디오카메라를 활용한 이미지 인식 센서를 포함한 자율운항 기능의 설계 및 개발을 담당
NYK:
하고 있음
▶
기존 로로 화물선
호에 무인 및 자율 항법 기능 장착을 위한 기술
K Line:
Hokuren Maru No. 2
을 개발 중임 또한 인식 정보처리 분석 계획부터 실행까지 가능하게 하는 선박의 조종 시스
.
,
,
,
템을 무인화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발표함
일본재단의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일본의 연안 해운 인력은 만 명 정도에 불과하며 그중 절반
2
,
이상이 세 이상임 해난사고의
가 사람에 의해 발생하고 있으며 일본 내 백여개 섬의
50
.
80%
,
4
교통 유지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므로 선박의 무인화가 필요한 현실임
이 정 은 전문연구원
jelee47012@imkm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