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01
니카라과, 번째로
22
케이프타운협정 가입
<
니카라과 번째로 케이프타운협정 가입
22
출처
,
: IMO>
니카라과가 지난 1 월 일
0 19
케이프타운협정*에 가입함에 따라 동 협정의 가지
,
2
발효 요건
중
‘
최소 개국 가입
22
’
이라는 첫 번째 요건이 충족되었음
*
원양어선 등 공해상에서 항해하는 어선이 갖추어야 할 건조 및 설계기준 구명설비 통신장비 등
,
,
안전
요건들을 규정한 국제협정으로
년 채택
2012
▶
두 번째 발효 요건은 비준국 조업어선 길이
이상 총합
척 이상 이며 현재까지
‘
(
24m
)
3,600
’
,
충족되지 않았음
척
기준
(2,603 , ‘23.5.30
)
제23-42호 ❘ 2023. 10. 30.
2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IMO
&
23-42호
임기택
사무총장은 니카라과의 가입으로 인해
IMO
“
케이프타운협정 발효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며
”
안전하고 지속가능하며 합법적인 어업을 위해
“
빠른 시일 내에 이 협정을
발효시킬 필요가 있다 고 밝힘
”
어업 안전을 제고하기 위해
가 그간 경주해온 활동은 다음과 같음
IMO
▶
회원국의 협약 비준 및 이행을 촉진하기 위해 FAO 세계식량농업기구
(
), ILO
국제노동기구
(
)
등
기구 및
UN
the Pew Charitable Trusts*
등
비정부기구와 협력을 지속하고 있음
년에 설립된 비영리 비정부기구
로서 공공정책을 개선하기 위해 해양환경 보호 금융
* 1948
(NGO)
,
·
경제 거버넌스 관련 프로젝트와 연구를 수행함
,
▶
년
2019
월
10
에는
역사상 가장 큰 규모
IMO
의 어선안전 콘퍼런스인 ‘어선안전과
어업
IUU
*에
관한 토레몰리노스 장관급 회의 를 개최함
’
어업은 불법
비보고
비규제
어업을 지칭
* IUU
(Il egal),
(Unreported),
(Unregulated)
▶
케이프타운협정의 필요성과 종합적이고 명확한 설명을 제공하는 지침서를 개발함
어업은 매년 수천 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위험한 직종이기에
케이프타운협
IMO
정, IMO
STCW-F
어선 선원의 훈련 자격증명 및 당직근무의 기준
(
·
에 관한 협약)
어업 협
, 2007 ILO
약 및
의
FAO PSMA
불법어업 근절을 위한 항만국조치
(
협정) 등을 맺어 안전을 증진하려는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음
김 현 중 에디터
kem5651@imkmc.or.kr
국제해사동향
3
공지
IMO
회의 및 행사 공지
[
]
사무국
(
)
에 관한 특별 전문가
LCA
워크숍 개최 알림 (CL.4774, '23.10.17.)
▶
에서 선박연료 전과정평가
지침
MEPC 80
(LCA)
에 관한 결의서 채택
이후
,
후속조치로
LCA
에 관한 특별 전문가 워크숍을
(GHG-EW 4)
'23.12.14.~15.
본부에서 개최
IMO
함을
알림
▶
동 워크숍은
일본 가 주재하며 영어로 진행될 예정이고 제 자 검증에 대한 기
Kohei Iwaki(
)
, 3
존 관행 등의 의제를 논의하여
에 제출할 계획임을 알림
ISWG-GHG 16('24.3.11~15.)
사무국
(
)
제 차
합동작업반
3 MSC-LEG-FAL MASS
개최 알림 (CL.4781, '23.10.19.)
▶
제 차
합동작업반
이
3 MSC-LEG-FAL
(MASS-JWG 2) '24.5.8.~10.
본부 및 원격
IMO
으로 개최됨
(Zoom)
을 알림
▶
작업반은 영어로만 진행되며
및
의 논의
FAL 47, LEG 110 MSC 107
결과를 고려하여 공통된
사안
선장 및 선원
(MASS
의 역할과 책임 인증 등 에 대해 논의하며 관련
,
)
,
문서 제출일은
'24.3.26.
회의 주 전 까지임
(
6
)
사무국
(
)
시상식 개최 알림
IMO
(CL.4787, '23.10.20.)
▶
는 국제해사상
IMO
(International Maritime Prize)*
바다
,
의 의인상(IMO Honours for
Exceptional Bravery at Sea)**
시상식을 제 차 총회
33
첫날인 '23.11.27. 시에
17
IMO
본부
본회의장에서 개최함을 알림
년 국제해사상 수상자
* 2022
로는 Anneliese Jost(독일, 해상법 전문가)가 선정됨
**
년
바다의 의인상 수상자로는 미국해안경비대
헬기 구조대원
이
2023 IMO
(USCG)
Caleb Hal e
선
정됨
4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IMO
&
23-42호
회원국 공지
[
]
영국
총회 준비를 위한 비자신청 안내
(
) IMO
(CL.4789, '23.10.13.)
▶
영국 정부는 각국
대표단에게
IMO
제 차 총회 참석을 위한
33
비자 신청과 관련하여
를
NV.55
참고할 것을 알림
▶
모든 비자 신청은 최소 주 이상 전에 이루어져야 하며 신청
6
,
시 각국 외교부에서 발행한
구상서(Note Verbale 가
)
첨부되어야 함을 알림
(
투발루) 투발루 선박기국
(Ship Registry)
사기
에 대한 입장 표명 (CL.4790, '23.10.19.)
▶
투발루 정부는 투발루 공무원이나
국민이 아닌 ‘Samuelu Telavi’가 운영하는 웹사이트
(https://maritimetuvalu-gov.tv/)
가 투발루 선박기국을 사칭하는 사기 사이트임을 알림
▶
현재 투발루 선박기국은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에서 관리되고 있으며
CCMA Pte Ltd
상기
,
웹사이트는 투발루 선박기국과 전혀 상관이 없음을 밝힘
(
벨라루스) 리투아니아의 칼륨비료
제재에 대한 우려 및 입장 표명 (CL.4788, '23.10.20.)
▶
벨라루스는 “리투아니아의 벨라루스산 칼륨비료 제재로 인해 세계 기아 문제와 국제 식량
안보가 위협받고 있다 며
” ,
리투아니아의
“
제재행위는 세계 시장에서 칼륨비료 부족, 가격
상승 수확량 감소 및 식품가격 상승
,
을 야기
하며, 이는 개발도상국에 대규모 기근을 불러
올 수 있다 고
”
언급함
▶
벨라루스는 리투아니아에 대해
지
UN 2030
속가능 개발 어젠다에 대한 국제적 의무와 유엔
헌장 및 관련 유엔 총회 결의를 준수하고 일방적인 강제조치를 중단할 것을 촉구함
,
국제해사동향
5
02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CO2 저장 프로젝트 진행 예정
출처
(
: Lloyd’s List, ’23.10.19.)
로테르담항만청 네덜란드가스공사
,
(EBN)
및
네덜란드 천연가스 인프라 기업
인 Gasunie는
억 유로 약
13
(
조
억 원
1 8,600
)
규모의 CO2 저장시설 프로젝트인 포르토스
를
(Porthos)
년
2024
부터 20 년까지
26
진행할 예정임. 동 프로젝트에는
가스전
P18
* 운영사인
에너지와
TAQA
등
Denys N.V., Al seas, LMR Dril ing GmbH
이 협력하고 있음
로테르담 항구 지역에 위치한 육상과 해안지역인 마스블락테
에서 약
떨어진 지
*
(Maasvlakte)
20km
하 가스전 플랫폼
▶
는
EU
포르토스를 기후목표 달성에 중요한 프로젝트로 인정하여 억
1 2
천만 유로
억 원
(1,720
)
의
보조금을 지급함
포르토스는 로테르담항에 입주한 에너지 기업인 Air Liquide, Air Products, ExxonMobil,
등에
Shel
CO2
운송 및 저장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임
▶
상기 에너지 기업들은 자체 정제소 및 화학공장에서 발생하는 CO2를 포르토스를 통해 해저
지중에 저장할 예정임
동 프로젝트는 로테르담항을 통해 CO2를 해안에서 약
떨어진 북해의 빈 가스전
20km
으로 운송한 뒤 해저
깊이에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depleted North Sea Gas Fields)
,
3~4km
방식을 적용할 계획임
▶
로테르담항에 건설 중인 육상운송시스템이 완공된 이후에
CO2
저장 프로젝트를 진행할 것
이며
년 동안 매년 약
, 15
2
만 톤씩
50
총
3,700
만 톤을 저장할 것임을 밝힘
탄소 포집 및 저장 시설은 단기간에 대량의 CO2 배출을 대기에서 차단할 수 있는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네덜란드 정부의 온실가스 관련 기후계획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
기대함
▶
포르토스 프로젝트는 로테르담항에서 발생하는 CO2 배출량
의 약 10%를 저감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됨
안 삼 엘 연구원
samela@imkmc.or.kr
6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IMO
&
23-42호
해상 사이버 공격 위협 증가에 대응한 방어력 강화 필요
출처
(
: Hel enic Shipping News, ’23.10.21.)
Thetius, HFW, CyberOwl
社*가 최근
공동 발간한 “Shifting tides, rising ransoms and
보고서
critical decisions”
는 디지털화 및
초연결 시대에 해운부문이 사이버 공격 위협에
점증적
으로 노출되고 있어서 사이버 보안문제 해결 시급성 및 방어력 강화 필요성을 강조함
▶
해운부문의 사이버 공격 건당 평균
피해규모는
년
만 달러에서
년 만
2022 18.2
2023 55
달러로
배 증가하였고
3
,
랜섬
요구 금액 또한
(RAMSOM)
년
2023
만 달러로
320
지난해
만 달러
310
보다 증가함 또한
년까지 사이버 범죄
.
, 2025
피해는
조 천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10 5
예상함
* Thetius
는 해운부문 스마트기술회사, HFW는 글로벌 법률회사
, CyberOwl
는 해양사이버보안회사
임
상선에 운영기술
과 사물인터넷
네트워크가 확산되면서 사이버 공격에 대한 해운
(OT)
(IoT)
부문의 취약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시스템은 비즈니스 중단 재정적 손실
,
,
착취 중요 시스템의 손상을 비롯한 다양한 위
(
),
험을 발생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
사이버 범죄자들은 해운부문이 상당한 수준의 요구 금액을 지불할 것이라 예상되는 점 선박의
,
평판 리스크에 대한 관심도 및 민감도가 높은
점에 따라 해운부문을 표적하고 있음. 이에 대
응하여 해운부문은 기본적인 사이버 보안 조치에만 의존하지 않고 디지털 자산과 네트워크를 보
호하기 위한 조치 및 재정을 마련해야 함
해운 커뮤니티 내에서 사이버 보안의 인식과 성숙도가 눈에 띄게 증가했지만 다양한 수준의
,
위험을 인식하고 선박 시스템 보안을 위한 고유의 프로세스 및 기술을 확보해야 하며 사이버
보안 관련 보험을 통해 재정적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전문적인 관리가 필요함
동 보고서는 해운부문의 사이버 보안 강화를 위해 다음의 권장사항을 제공함
사이버 보안 관련 팀을 구성
➊
한 모든 부서의 사이버 위험 관리 개선
➋ 사이버 보안에 대한 신중하고 포괄적인 투자 결정을 통해 일관된 보안 프로그램을 채택해야
하며 고비용 대비 낮은 효율성을 초래하는 포인트 기반 솔루션
,
지양
➌ 고급 위성 통신 시스템이 가진 추가적 사이버 위험 발생 가능성 고려 및 더 강력한 보안
필요성 숙지
사이버 보안 소프트웨어는 산업계 표준을 충족하고 장기적으로 보안을 유지하도록 보장
➍
보험의 범위와 한도를 포함하여 기관의 사이버
➎
보안 관련 보험 정책
에 대한 명확한 이해
비즈니스 관련 계약 조항에 사이버 보안의 책임과 위험을
➏
고려사항에 포함
이 정 윤 연구원
jylee@imkmc.or.kr
국제해사동향
7
년
2022 선박연료 소모량 LNG
감소 바이오연료
13%
,
3배 증가
출처
홈페이지
(
: IMO DOCS
, ’23. 10. 20.)
국제해사기구
사무국은
협약 부속서 장의
(IMO)
MARPOL
DCS
Ⅵ
(Data Col ection System)
보고 관련 규정*에 따라
년 국제항
2022
해에 종사하는 총톤수
톤 이상 선박
척
5,000
28,834
년
척 의 연료유 소모량 데이터에 대한 보고서를
(2021 28,171 )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에
제출함
동 보고서 제출 배경과 관련된 연료유 소모량 데이터에 관한 협약의 규정은 아래와 같음
*
구 분
주 요 내 용
제 규칙 항
27
3
매년 종료 시점 후 개월 이내에 선박은 정해진 양식에 따라 주관청 또는
에
3
RO
연료유 소모량 데이터를 보고해야 한다.
제 규칙 항
27
7
데이터는
지침서를 고려하여 기국에 의해 수립된 절차에 따라 검증되어야 한다
IMO
.
제 규칙 항
27
9
에 대한 적합확인서
발급 후 개월 내
DCS
(SoC, Statement of Compliance)
, 1
주관청은
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
IMO GISIS
.
제 규칙 항
27
10
사무총장은
자료를 요약해 연례보고서를
DCS
해양환경보호위원회에 제출해야 한다.
제 규칙 항
27
12
사무총장은 특정 선박의 식별이 불가하도록 데이터의 익명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
년 월
가 파악한
보고대상 선박은
개국
척
2022 1 IMO
DCS
135
33,991
이며 이 중
,
10
개국
8
척
28,834
이 보고 완료하여 보고 이행률은
임 아래 그림은
년 기간 보고된
84.8% .
2019~2022
연료유 총량을 나타내며
년 소모량은
2022
2
억 1,3 만 톤
00
으로
년과 비슷한 수준임
2021
▶
년 중유 사용량이 급감하고 경유 사용량이 급증한 이유는
년 시행된 국제항행
2020
2020
해 선박
의 연료유 황 함유량 기준
을
에서
로 제한하는 규제에 따른 영향으로 보임
3.5%
0.5%
8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IMO
&
23-42호
기간
< 2019~2022
DCS
에 보고된
선박연료별 소모량, 출처: IMO>
아래 그림은 기존 선박연료유인 중유 경유 및 디젤유를 제외한 기타
,
선박연료의 종류별 소모
량을 보여줌
년
연료소모량은
. 2022 LNG
1,095
만 톤으로 전체 연료량의
를 차지하고 있
5.1%
으며
년 소모량
2021
1,26
만
5
톤과 비교하면 약
감소함
13%
바이오연료 소모량의 경우
년
톤으로
년 보고된 소모량인
톤과
2022 226,378
2021
67,580
비교해 3배 이상 증가했으며 메탄올 소모량 또한
년
톤으로
년 소모량인
,
2022 35,523
2021
톤과 비교하여
13,031
2
배 이상 증가함
▶
비율 측면에서는
년과 비교해 대체연료의 사용이
2021
크게 증가하지 않았지만 소모량 측면
,
에서
를 제외한 기타 대체연료의 사용량은 두 배 이상 증가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LNG
국제해사동향
9
표 은
년
기준 선종별 운항 정보 및
1 2022 DCS
CO2
배출량을 나타냄
. CO2
배출량은 에너지
효율설계지수(EEDI) 지침의 환산계수(CF)*를 사용한 계산 결과임 벌크선 컨테이너선 탱커
.
,
,
선에서 발생하는 CO2 배출량은
억
만 톤으로 해운 전체
4 9,512
CO2
배출량 억
만 톤
(6 6,443
)
의
를 차지하고 있음
75%
선박 건조 시 톤의 화물을 해리 운송하는 데 배출되는
* Conversion Factor:
1
1
CO2
배출량을 기관출
력 재화중량톤 수 등 선박의 제원을 바탕으로 계산하여 지수화한 값으로서 선박의 에너지효율을 의
,
미함
는
. Cf CO2
환산계수로서 연료량을 기반으로 CO2 배출량을 산출할 때 사용함
표 는
년
기준 선종별 선박연료별 연료 소모량을 보여줌
년 메탄올 등 기타
2 2022 DCS
·
. 2022
대체연료 사용은 낮은 수준으로 현 시점에서 해당 표를 기반으로 유의미한 비교 분석은 어려
움 다만 단기적인 관점에서 대체연료로 주목받고 있는
의 선종별 사용량을 통해 많은
.
,
LNG
를 배출하는 벌크선의 대체연료 전환이 상대적으로 더딘 점을 확인할 수 있음
CO2
10
소식 국제해사동향 제
IMO
&
23-42호
선 종
선박수
척
( )
총톤수
천톤
(
)
DWT
천톤
(
)
운항거리
천
( km)
운항시간
천시간
(
)
CO2배출량
천톤
(
)
벌 크 선
10,190
467,228
855,733
486,563
44,317
171,489
복합화물선
22
936
1,570
1,174
105
365
컨테이너선
4,824
259,186
290,228
336,307
24,876
189,610
크루즈여객선
264
22,362
2,080
17,718
1,282
18,989
가스운반선
805
25,762
28,038
50,410
3,797
18,248
일반화물선
2,400
34,419
49,099
98,330
9,313
24,123
운반선
LNG
604
64,804
51,268
51,573
3,731
42,323
여 객 선
84
3,259
411
3,311
297
2,461
냉장화물운반선
251
2,453
2,663
14,205
1,005
4,094
화물선
Ro-Ro
336
10,055
4,768
23,411
1,644
8,609
자동차운반선
687
36,728
12,342
58,915
3,984
20,537
여객선
Ro-Ro
418
10,406
2,076
26,983
1,662
14,596
탱 커 선
6,890
333,838
603,337
319,392
29,263
134,016
기 타 선
1,059
17,897
16,934
33,090
4,549
14,971
합 계
28,834
1,289,334
1,920,542
1,521,382
129,828
664,433
표 선종별 운항 정보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년
기준
< 1.
(2022 DCS
)>
국제해사동향
11
선박연료
선 종
MDO/MGO
Ethane
Ethanol
HFO
LFO
LNG
LPG -
Butane
LPG -
Propane
Methanol
Other
TOTAL
벌 크 선
4,251,269
0
0 32,960,295 17,511,604
12,310
0
557
0
2,613
54,738,648
복합화물선
6,279
0
0
97,179
13,469
0
0
0
0
0
116,927
컨테이너선
4,683,075
0
0 37,154,793 18,401,235
312,536
0
1,392
0
194,823
60,747,854
크루즈여객선
2,564,644
0
0
3,213,238
182,753
67,263
0
0
0
0
6,027,898
가스운반선
695,737
95,204
772
2,898,004
1,620,317
482,347
15,463
76,513
0
1,501
5,885,858
일반화물선
1,996,902
0
10,118
3,245,171
2,402,672
5,112
0
0
0
8,555
7,668,530
LNG
운반선
1,679,872
0
0
1,561,671
1,648,197
9,775,012
0
0
0
0
14,664,752
여 객 선
296,598
0
0
427,984
49,348
8,055
0
0
0
0
781,985
냉장화물운반선
167,091
0
0
902,265
237,465
0
0
0
0
0
1,306,821
Ro-Ro
화물선
428,726
0
0
1,942,113
370,123
7,357
0
0
0
186
2,748,505
자동차운반선
741,019
0
0
2,524,273
3,251,456
19,973
0
0
0
7,420
6,544,141
Ro-Ro
여객선
1,263,718
0
0
2,564,006
755,297
65,122
0
0
1
654
4,648,798
탱 커 선
7,177,171
0
0 25,564,227
9,776,667
188,033
1,210
5,156
35,522
5,610
42,753,596
기 타 선
2,333,701
0
0
1,521,064
857,232
7,288
0
5,156
0
5,377
4,729,818
합 계
28,285,802
95,204
10,890 116,576,283 57,077,835 10,950,408
16,673
88,774
35,523
226,739 213,364,131
<
표 2. 선종별 선박연료별
·
연료 소모량
년
기준
(2022 DCS
) >
황 대 중 전문연구원
hdaejung@imkm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