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 자원부 |
[ 전략분야1 ] |
암모니아 연료 추진선용 시스템 기술개발
- 연료공급시스템 / 암모니아 내연기관 / 암모니아 연료전지 시스템
|
- 암모니아 내면기관개발 및 실증(1단계 2023년 ~ 2단계 2026년)
- 친환경 연료전지 - ESS하이브리드 시스템(1단계 2024년 ~ 2단계 2027년)
산업통상 자원부 [전략분야 1] 에너지 최적화통합모듈시스템 / 중대형선박응직류배진기술/ 중대형선박용컨버터·드라이버 / POD 추진기 / 고압기체수소 -연료전지/ 연료전지-ESS 하이브리드시스템(1단계 2022년 ~ 2단계 2027년), 해양수산부 [전략분야3] 배터리/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실증(1단계 2022년 ~ 2단계 2027년)과 연계가능 과제
- 선박용 암모니아연료공급시스템(1단계 2022년 ~ 1단계 2025년)
해양수산부 [전략분야2] 암모니아 활용기술 개발(1단계 2022년 ~ 2단계 2026년)과 연계가능 과제
|
하이브리드 추진선용 시스템 기술 개발
- 에너지 최적화 통합 모듈 시스템 / 중대형 선박용 직류 배전기술 / 중대형 선박용 컨버터·드라이브 / POD 추진기 / 고압기체수소-연료전지 / 연료전지-ESS 하이브리드 시스템
|
- 에너지 최적화통합모듈시스템 / 중대형선박응직류배진기술/ 중대형선박용컨버터·드라이버 / POD 추진기 / 고압기체수소 -연료전지/ 연료전지-ESS 하이브리드시스템(1단계 2022년 ~ 2단계 2027년)
해양수산부 [전략분야3] 해상 및 육상 실증 지원 기반 구축(1단계 2022년 ~ 2단계 2027년), 산업통상 자원부 [전략분야 1] 친환경 연료전지 - ESS하이브리드 시스템(1단계 2024년 ~ 2단계 2027년)과 연계 가능 과제
|
에너지 효율 향상 기술개발
- 고전압 대용량 축발전 시스템 / 수소혼소가스터빈 / 선박폐열시스템 / 반도체 변압기
|
- 고접압 대용량축발전 시스템 / 수소혼소가스터빈/ 선박폐열시스템 / 반도체변압기(2단계 2026년 ~ 3단계 2039년)
|
친환경 중대형 선박 설계기술 개발
- 암모니아·하이브리드 기본설계 / 대형선박 설계 및 도면승인
|
- 대체연료, 추진선박, 기본설계(1단계 2023년 ~ 1단계 2024년)
|
전략분야4 |
친환경선박 핵심기술 개발 국제표준화 (ISO, IEC 등) |
- 개발 친환경 핵심기술 국내/외 산업 표준 기반 조성 및 국제 표준화(1단계 2022년 ~ 3단계 2031년)
해양수산부 전략분야4 저탄소 IMO의제 개발 및 제도 개선(1단계 2023년 ~ 1단계 2025년), 무탄소 IMO의제 개발 및 제도 개선(2단계 2026년 ~ 2단계 2028년), 미래 친환경선박 IMO의제 및 제도(3단계 2029년 ~ 3단계 2031년)과 연계 가능 과제
|
해양수산부 |
전략분야2 |
친환경 선박 시험·평가 실증 기술개발
- 연안선박의 전주기기술개발지원 체계확보, 전기추진 시스템 시험·평가 기술 개발, 혼유기준 개발, 암모니아 활용기술 개발
|
- 연안선박 전주기 기술개발 지원체계 확보(1단계 2022년 ~ 3단계 2031년)
- 전기추진 시스템 시험·평가 기술(1단계 2022년 ~ 3단계 2031년)
산업통상 자원부 [ 전략분야1 ] 친환경 연료전지 - ESS하이브리드 시스템(1단계 2024년 ~ 2단계 2027년), 산업통상 자원부 [ 전략분야1 ] 에너지 최적화통합모듈시스템 / 중대형선박응직류배진기술/ 중대형선박용컨버터·드라이버 / POD 추진기 / 고압기체수소 -연료전지/ 연료전지-ESS 하이브리드시스템(1단계 2022년 ~ 2단계 2027년), 해양수산부 전략분야3 배터리/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실증 (1단계 2022년 ~ 2단계 2026년)과 연계 가능 과제
- 혼유기준 개발(1단계 2022년 ~ 1단계 2025년)
- 암모니아 활용기술 개발(1단계 2022년 ~ 2단계 2026년)
산업통상 자원부 [ 전략분야1 ] 선박용 암모니아연료공급시스템(1단계 2022년 ~ 1단계 2025년)과 연계 가능 과제
|
전략분야3 |
친환경 연안 선박 개발·실증 및 보급 기반 확보
- 연안선용 림구동 추진기술 개발 및 실증, 배터리 /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실증, 해상 및 육상 실증지원기반 구축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 연안선용 림구동 추진기술 개발 및 실증(1단계 2022년 ~ 2단계 2026년)
- 배터리/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실증(1단계 2022년 ~ 2단계 2026년)
산업통상 자원부 [ 전략분야1 ] 친환경 연료전지 - ESS하이브리드 시스템(1단계 2024년 ~ 2단계 2027년), 산업통상 자원부 [ 전략분야1 ] 에너지 최적화통합모듈시스템 / 중대형선박응직류배진기술/ 중대형선박용컨버터·드라이버 / POD 추진기 / 고압기체수소 -연료전지/ 연료전지-ESS 하이브리드시스템(1단계 2022년 ~ 2단계 2027년), 해양수산부 전략분야2 전기추진 시스템 시험·평가 기술(1단계 2022년 ~ 3단계 2031년)과 연계 가능 과제
- 해상 및 육상 실증 지원 기반 구축(1단계 2022년 ~ 2단계 2027년)
산업통상 자원부 [ 전략분야1 ] 에너지 최적화통합모듈시스템 / 중대형선박응직류배진기술/ 중대형선박용컨버터·드라이버 / POD 추진기 / 고압기체수소 -연료전지/ 연료전지-ESS 하이브리드시스템(1단계 2022년 ~ 2단계 2027년)과 연계 가능 과제
|
- |
해상 및 육상실증 지원 기반 구축 |
- 해상실증 및 육상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실증 방안 마련(1단계 2022년 ~ 2단계 2026년), 플랫폼 및 모니터링 시스템 통합 시스템 운용, 확대 및 고도화(2단계 2027년 ~ 3단계 2031년)
|
전략분야4 |
친환경선박 실용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 및 IMO 의제 개발 |
- 저탄소 IMO의제 개발 및 제도 개선(1단계 2022년 ~ 1단계 2025년), 무탄소 IMO의제 개발 및 제도 개선(2단계 2026년 ~ 2단계 2028년), 미래 친환경선박 IMO의제 및 제도(3단계 2029년 ~ 3단계 2031년)
산업통상 자원부 전략분야4 개발 친환경 핵심기술 국내/외 산업 표준 기반 조성 및 국제 표준화(1단계 2022년 ~ 3단계 2031년)과 연계 가능 과제
|